탑배너 닫기

'심판 매수' 전북 상벌위, 8월로 연기

2차 공판 유, 무죄 여부에 따라 징계 수위 달라져

전북 현대의 가파른 성장을 이끈 이철근 단장과 최강희 감독(왼쪽부터)은 소속 스카우트와 일부 심판의 금품 수수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징계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유, 무죄 여부에 따라 수위가 달라진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7월 1일 열기로 했던 전북의 상벌위원회를 2차 공판이 열리는 8월 17일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당초 프로축구연맹 상벌위는 지난 29일 1차 공판 이후 전북의 징계를 논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1차 공판에서 두 명의 심판에 뒷돈을 건넨 전북 소속 스카우트 C씨와 돈을 받은 두 명의 심판 진술이 엇갈리며 팽팽한 법정 공방이 불가피해졌다.

전북 스카우트 C씨는 뒷돈을 준 것을 인정하면서도 '부정한 청탁' 여부는 부인했다. 하지만 뒷돈을 받았다는 사실을 시인한 두 심판의 경우 '부정한 청탁'이 있었다는 진술을 했다.

대가성 여부에 대한 양측의 진술이 엇갈리며 부산지방법원은 8월 17일에 2차 공판을 열기로 했다. 프로축구연맹 역시 법원이 유, 무죄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만큼 섣불리 상벌위원회를 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논란의 당사자에 징계는 분명히 하지만 법원의 판단에 따라 징계 수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축구연맹 관계자는 "1차 공판에서 분명한 변수가 등장하면서 어쩔 수 없이 상벌위원회도 연기됐다"면서 "유, 무죄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측해 섣불리 징계했다가 사실관계가 달라질 경우 수위를 더하거나 빼기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2차 공판에서 유, 무죄 여부가 가려질 경우 곧바로 상벌위를 열 계획이다. 징계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이 상벌위의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북의 심판 매수 의혹의 징계 논의가 늦어지며 올 시즌 K리그의 올스타전 개최 여부는 더욱 불투명해졌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