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국회/정당

    '유승민 복당' 처리한 與 비대위 '69일' 활동 마감

    지도부 '권한' 강화했으나 '계파 화합', '혁신' 등 역부족

    (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새누리당의 4‧13총선 참패로 구성된 혁신비상대책회의가 8일 마지막 회의를 끝으로 사실상 활동을 마감했다. 비대위는 지난 6월 2일 출범해 전당대회 당일인 오는 9일 69일간의 활동이 종료된다.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무엇보다 스스로 가장 엄격하고 국민 앞에 겸손하며, 국민에게 무한 책임을 다하는 당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그간 부족하고 잘못됐던 점은 제 부족함으로 인한 것이니 너그러이 이해해 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간 활동에 대한 일부 아쉬움이 묻어나는 대목이다.

    당초 비대위는 총선 패배 뒤 친박, 비박 등 각 계파로 쪼개진 여당을 추스르기 위해 출범했다. 그러나 전당대회가 다시 대결 양상로 치달으면서 '화합', '혁신' 등의 가치는 차기 지도부의 몫으로 남게 됐다.

    가시적인 변화로 평가할 수 있는 지도체제 개편의 경우에도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룰(rule)을 변경한 것에 가깝다.

    개편의 핵심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 분리 선출에 의한 당권 강화에 있다. '봉숭아 학당' 소리를 들었을 만큼 왜소해진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자는 취지였다. 대표 최고위원이란 직책도 '당 대표'로 바꾸었다.

    그러나 분리 선출 규정은 혁신비대위 내부에서 도출된 대안이라기보다 각 계파의 수장들이 각자의 차기 당권 구상에 유리하도록 계산해 내린 결론에 가까웠다.

    엄밀히는 지난 5월 김무성 전 대표와 최경환 의원, 정진석 원내대표가 3자 회동을 통해 합의했다. 이들은 당 대표를 따로 뽑는 것이 각자의 계파에 유리하다고 봤다.

    당 대표를 분리 선출하게 된 결과 원내대표의 권한도 강화됐다. 혁신비대위가 이날 펴낸 활동 보고서(p18)에 따르면 '당 대표 궐위 시 대표 권한 대행'은 기존 전당대회 차점 최고위원에서 원내대표로 바뀌었다.

    이밖에 지명직 최고위원 1명을 줄여 청년 최고위원 몫을 신설했고, 전략기획본부장‧홍보본부장 등을 사무부총장 직책으로 바꿔 사무총장 이하 1~3사무부총장 체제로 개편했다. 당 윤리위원회는 외부 위원을 3분의 2 이상 임명토록 개방했다.

    하지만 지도체제 개편과 같은 제도 개선보다 지난 총선 과정에서 낙천, 탈당한 뒤 무소속 당선됐던 여당 출신 8명을 일괄 복당시킨 점이 가장 큰 파장을 낳았다.

    정진석 원내대표도 마지막 비대위 회의에서 "일괄복당이야 말로 혁신과 화합이란 총선 민의를 수용하고 정권재창출의 기반을 다지는 의미 있는 일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복당 문제는 유승민(4선), 윤상현(3선) 의원 포함 여부를 놓고 계파 간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는 사안이었다. 비박계 비대위원들의 표결 강행 절차에 불만을 품은 김 혁신비대위원장이 당무 거부에 나서기도 했다.

    비대위는 복당 문제를 극적으로 처리한 이후부터는 계파 간 갈등을 피하려는 듯 기계적인 균형에 집착했다. 결과적으로 지나치게 몸을 사리다가 지난 총선 패배의 원인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 점은 한계다.

    당초 총선 패배에 대한 신랄한 문제제기가 예상됐던 '백서(白書)'의 경우 백화점식 문제점 열거로 "밋밋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친박계 핵심 인사들의 육성이 담긴 '공천 개입' 녹취록이 전대를 앞두고 폭로됐지만, 비대위는 민감한 정치적 사안에 대해선 정면으로 다루지 않고 피하기로 일관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