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열에 저항하는 젊은 연극인들의 페스티벌 '권리장전2016_검열각하'가 대학로 연우소극장에서 진행 중입니다. 6월부터 시작해 5개월간 매주 1편씩, 총 20편의 연극이 무대에 오릅니다. CBS노컷뉴스는 연극을 관람한 시민들의 리뷰를 통해, 좁게는 정부의 연극 '검열'부터, 넓게는 우리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박힌 모든 '검열'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리뷰 순서="">
1. 우리 시대의 연극 저널리즘 / '검열언어의 정치학 : 두 개의 국민'
2. 포르노 시대 한가운데에 선 나를 보다 / '그러므로 포르노 2016'
3. 그들이 ‘안티고네’를 선택한 이유 / '안티고네 2016'
4. 주장이 구호가 안 되게 서사의 깊이 보장해야 / '해야 된다'
5. 2016년 우리는 <김일성 만세="">를 볼 수 있는가 / '자유가우리를의심케하리라'
6. 불신, 이래도 안 하실 겁니까? / '불신의 힘'
7. 그는 검열하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겠지 / '15분'
8. 우리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 '광장의 왕'
9.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과 정태춘의 ‘아, 대한민국’ / '이반 검열'(계속)
연극 '이반 검열'. (제공 사진)
검열의 시대에 검열에 맞서는 연극들이 상연된다는 말을 들었을 때 연어 떼들이 연상됐다. 세찬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듯 검열 없는 세상을 향한 부단한 몸짓들이 있는 곳, 연우소극장을 찾았다. 그곳에서 본 연극은 ‘이반 검열’
‘이반’은 동성애자들이 자신들을 일반인과 상대적인 존재로 보고 풍자하는 용어라고 한다. 한자로는 이반(二般), 또는 이반(異般)으로 쓴다고. 이 연극의 무대장치는 단순했다. 벽에 부착된 작은 태극기 하나와 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네 개의 책상과 의자뿐.
연극이 시작되자 이반, 시선, 학교, 검열이라는 글자들이 지나갔다. 이반. 즉 동성애자들이 학교와 가족 그리고 주변에서 당하는 시선, 그 모멸감과 절망감을 문어체 문장인 ‘-습니다’로 진술하듯 대사를 한다.
연극 '이반 검열'. (제공 사진)
‘세월호’라는 글자가 나타나자 배우들은 역할을 바꾸어 세월호의 유족이거나 세월호에서 살아남은 학생이 되어 연기를 했다. 왜 동성애자들 이야기에 세월호 이야기가 나올까? 동성애자들이나 세월호 생존 학생이나 그들에게 던져지는 세상의 시선은 '가만히 있으라'다. 존재감을 드러내지 마라인 것이다.
가만히 있으라는 말에 아이들이 죽어갔는데, 살아온 아이들에게도 가만히 있으라고 끊임없이 세뇌시키는 세상. 언젠가 세월호 유족들이 서명해 달라고 소리치던 곳에서 그 소리가 시끄럽다고 버럭 고함을 지르던 한 아저씨가 생각났다. 검열관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는 세상이다.
연극 '이반 검열'. (제공 사진)
조용하던 무대가 시끄러워지면서 탄압과 검열의 역사가 무대에 펼쳐졌다. 국민체조 음악 소리, 구령 소리, 힘찬 구호들, 귀가 따가운 사이렌 소리. 그 조악하게 시끄러운 소리가 가해자들의 뻔뻔스러운 당당함으로 느껴졌다.
배경 음악으로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과 정태춘의 ‘아, 대한민국’이 시차를 두고 들려왔다. 대한민국의 민낯은 어느 쪽일까? 음반 사전심의에 맞서던 정태춘의 뜻과 이 연극의 뜻이 일치한다는 생각도 하였다. 다시 네 개의 책상과 의자가 배열되고 무대는 조용해졌다. 동성애자들과 세월호 유족과 생존자들의 이야기가 혼합되어 진술되면서 연극은 끝난다.
연극의 대사는 주로 ‘–습니다’라는 문어체 문장으로 처리되었다. 대화가 어려운 선입견과 편견이라는 박제화된 생각들. 동성애자나 세월호 생존자들은 그 생각들에 심문 당하면서 자신들의 아픔을 호소하고 진술한다는 느낌이었다.
배우들은 문어체 문장일 때는 관객들에게 시선을 고정시키고 있었다. ‘어쩌면 당신들도’라 말하는 모습이었다. 같은 약자이면서도, 그들에게 일상적 가해자들일 수도 있는 바로 우리!
연극 '이반 검열'. (제공 사진)
연극을 보는 내내 태극기에 신경이 쓰였다. 태극기는 무대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었다. 마름모꼴 형태의 연우소극장이라 그런지 태극기는 마치 원형감옥(팬옵티콘)의 감시자 같았다. 우리를 감시하는 국가의 모습, 끝없이 검열당하는 우리의 모습을 느끼며 연극을 보아야 했다.
부당한 검열의 역사는 언제 끝날 것인가? 그동안 우리는 거센 물살을 헤치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 떼처럼 살아야 할 것이다. 힘들지만 기 죽지 말고 잘 헤쳐 나가자.
이혜경 / 58년 개띠 주부
김일성>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