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8월 중순까지 해외건설, 플랜트 사업 수주액이 지난해의 55% 수준에 그칠 정도로 우리 기업의 해외건설, 플랜트 사업 수주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기업의 해외수주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강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건설·플랜트 사업 수주 실적이 부진한 만큼 수익성이 높은 투자개발형 사업의 수주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건설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4% 성장한 8.8조 달러로 추정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해외건설·플랜트 사업 수주액은 461억 달러로 전년의 660억 달러에 비해 30.1% 급락했다.
또 올해 1월부터 8월 15일까지의 해외건설·플랜트 사업 수주액은 약 170.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절반(55%) 수준에 불과했다.
이태규 한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투자개발형 해외발주 사업이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해외수주 실적에서 투자개별형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시공기업이 사업개발, 지분투자, 설비운영 등 전 과정에 참여하는 사업이다. 반면 단순 도급형 사업은 발주자가 금융 등 전반을 담당하고 시공기업이 단순시공, 설계, 조달 등을 맡아 투자개발형 사업보다 수익성이 낮다.
지난해 우리나라 해외건설·플랜트 사업 수주액 중 투자개발형 사업의 비중은 3%로, 도급형 사업(97%)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경연은 "최근 중동 주요국들이 저유가로 인해 재정상황이 악화되면서 재정을 직접 투입하기보다 투자개발 형태나 시공자 금융제공 등의 형태로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수익률이 단순도급형 사업의 두세 배에 달하고 수요도 많은 투자개발형 사업의 수주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기업의 투자개발형 사업 수주가 부진한 원인으로 자금조달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들었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막대한 비용과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적절한 금융조달 없이 사업 수주와 완수가 어렵지만 우리나라에는 건설프로젝트에 전문성을 가지고 대규모 자금을 장기간 공급할 수 있는 민간 금융회사가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한경연은 정책금융형 해외 인프라펀드 규모를 확대해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