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속사정이 궁금하다. 뉴스의 행간을 속 시원히 짚어 줍니다. [Why뉴스]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김현정의>
■ 방송 : 권영철의 Why뉴스
■ 채널 : 표준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권영철 CBS 선임기자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의 '강제모금' 의혹과 관련해 안종범 경제수석(현 정책조정수석)에 대한 감찰 착수 여부를 고심하다 중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석수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 청와대가 이석수 특별감찰관을 '국기문란'으로 몰고간 이유가 미르재단과 K 스포츠 재단의 강제모금에 대해 내사를 했기 때문이라는 데 그게 맞는 거냐?= 특별감찰관실에서 두 재단의 '강제모금' 의혹과 관련해 사전조사를 했던 것은 사실이다. 특별감찰관실 관계자에 따르면 "두 재단의 강제모금 의혹과 관련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기금을 낸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했다"는 것이다.
특별감찰관실에서는 재단설립기금을 낸 기업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돈을 내게 된 경위를 조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감찰관실 관계자는 "안종범 수석이 기업들에게 재단설립 기금을 출연하도록 압력을 넣었다는 첩보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래서 검찰이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감찰 누설 의혹과 관련해 특별수사에 착수하면서 이 특감의 개인 휴대전화를 압수하는 외에도 특별감찰관실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해서 자료를 가져간 것도 특별감찰관실에서 두 재단에 대해 어느 정도 정보를 수집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게 아니었나 하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별감찰관실 관계자는 "검찰이 감찰관실 하드웨어에 있는 자료를 복사해갔으며 감찰관련 자료를 대부분 가져갔다"면서 "특히,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업무일지도 가져갔는데 두 재단과 관련된 메모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진=자료사진)
▶ 그러면 우병우 민정수석을 지키기 위해서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손발을 묶은게 아니고 두 재단에 대한 검찰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냐?= 그런 의혹은 처음부터 제기됐다. 청와가 왜 저렇게 무리를 하면서까지 우병우 수석을 지키려는 것일까? 쉽게 납득이 되지 않았다.
이석수 특별감찰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근령씨에 대해 검찰에 고발했고, 청와대 최대 실세로 불리던 우병우 민정수석에 대해 감찰에 착수해 수사의뢰 했다.
이석수 특별감찰관을 그대로 둘 경우 안종범 수석에 대해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의뢰 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 되는 것이다. 그러면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과 관련된 강제모금 의혹이 드러나는건 시간 문제인 것이다.
이석수 특별감찰관에 대해 청와대가 '국기문란사범'이라며 사실상 검찰에 수사의뢰를 할 때 다른 이유나 의도가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레임덕을 자초하면서까지 우병우 민정수석을 비호할 이유가 없는 게 아닌가? 그런데 왜 저렇게 쎄게 나갈까? 그런 의문이 꼬리를 물었다. 결과적으로 두 재단의 강제모금에 대한 감찰을 막기 위해서 그랬다면 의문이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미 언론에서는 두 재단의 모금의혹에 대해 보도를 하고 있었고 정치권과 전경련 주변에서도 관련 의혹이 파다했다.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감찰 누설의혹 제기의 타이밍도 절묘하다. MBC가 처음보도한 게 8월 16일인데 감찰종료 3일을 앞둔 시점이었다. 그러고 '국기문란'으로 몰고가면서 이 특감이 사표를 제출했고 '강제모금'에 대한 감찰은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한 것이다.
또 특별감찰관실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나서기전 동아일보가 감찰자료 폐기의혹을 보도한다. 그리고 검찰은 특별감찰관실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서 각종자료를 압수하는 단서로 삼았다. MBC나 동아일보의 보도가 없었더라면 청와대나 검찰이 어떻게 움직였을 지 의문이다.
▶ 이석수 특별감찰관은 왜 미르재단과 K스포츠 재단의 강제모금 의혹에 대해 정식 감찰에 착수하지 않은 거냐?= 이석수 특별감찰관은 감찰에 착수하는 걸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정권이 1년 6개월이상 남은 상황에서 대기업들이 조사에 응하지도 않을 것이고 실제로 기금을 출연한 기업체 관계자들은 진술을 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감찰에 착수하면 한 달 만에(공식적인 감찰은 1달내에 마쳐야 하고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야 연장이 가능하다) 조사를 마무리 해야하는데 사안자체가 한 달 안에 마무리 짓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감찰 착수를 미뤘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감찰관실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두 재단은 이미 설립됐고 돈을 낸 기업체 명단도 나와 있기 때문에 정권말이나 다음 정권에서 이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감찰 착수를 포기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어슬프게 감찰에 착수해서 제대로 된 결과를 건지지 못할바에야 차라리 미루는 게 낫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의 사정기관에서도 미르재단이나 K스포츠재단 설립과정에 대해 첩보를 수집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