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 한복판으로 400년 역사가 압축된 창덕궁앞 일대가 종합적인 '역사인문' 공간으로 재생된다.
서울시는 창덕궁앞 일대(율곡로~삼일대로~종로~서순라길)가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400여 년 서울의 다양한 역사가 압축돼 있는 지역인 만큼 '역사인문재생' 개념으로 새롭게 종합재생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지역은 정치·역사·문화·공간적으로 한양도성 한복판이지만 1928년 일제에 의해 창덕궁 앞으로 율곡로가 개설되면서 공간적 단절이 시작돼 1967년에는 강남과의 연결을 위해 삼일대로가 확장되면서 인사동과의 단절이 불가피해졌고 또 1968년 낙원빌딩이 들어서면서 단절이 심화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서울시는 역사인문재생을 실현하기 위해 시대별 역사에 따라 이 일대를 돈화문로(조선시대) 삼일대로(근대전환기) 익선~낙원(근‧현대) 서순라길(현대) 등 4개 길로 구분해 재생하기로 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우선, 조선시대 전국 도로망의 기점이었던 돈화문로(조선시대)는 '왕이 백성을 만나러 가는 길'에서 '시민이 함께 궁궐로 가는 길'로 변신한다.
현재는 안국역을 이용해 창덕궁을 가지만, 앞으로는 돈화문로를 거쳐 가도록 보행중심길로 만들게 되고, 이를 위해 돈화문로에서 창덕궁에 이르는 가로수 정비방안이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또 삼일대로(근대전환)는 대한민국 탄생의 기초가 된 3‧1운동 정신을 이어받아 3‧1운동 기념 대표공간으로 조성된다.
독립선언서가 낭독됐던 탑골공원을 역사적 고증을 통해 원형복원을 검토하고 또, 역사가 깃든 주요장소에 빠짐없이 표석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스토리텔링하고 3‧1운동 전개과정을 체험하는 탐방루트를 만드는등 3‧1운동 100주년인 2019년 가시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또 익선~낙원 지역(근현대)은 낙원상가~돈화문로~서순라길을 잇는 구간으로, 일제에 의해 조선왕조의 궁궐이 해체되던 당시, 궁궐에 있던 기녀들이 저자로 나와 궁중요리, 한복, 음악 등 다양한 궁중문화를 일반인들에게 알린 대중문화의 중심지였다.
저자로 나온 궁중문화가 시민 삶 속에서 이어지도록 의식주락(衣食住樂) 신흥문화를 재창조하기 위해 현재 젊은 창업인들을 중심으로 자생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100년 한옥마을 익선동이 선도적인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지난 2008년 철거계획이 검토됐지만 현재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낙원상가에는 옥상공원 및 열린무대를 만들고, 낙원상가 하부와 연결되는 돈화문로11길은 낙원상가의 대중음악 역사를 확산시켜 자유롭게 버스킹이 열리는 대표적 음악거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서순라길(현대)은 현재 종묘를 에두르며 형성돼 있는 귀금속타운의 잠재력과 청년 공예인들의 창의적 성장동력을 결합, 공예와 문화, 사람이 함께하는 공예창작거리로 조성한다.
이를 위해 순라길변에 자리 잡고 있는 한옥들을 개선해 '한옥공방특화길'을 조성하고, 귀금속 상가 밀집지역에는 '가꿈가게 지원'과 '경관사업' 등을 통해 거리환경을 개선한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계획을 기본으로 주민의견을 적극 수렴해 세부계획을 최종적으로 확정,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창덕궁앞 역사인문재생계획은 중심시가지형으로서 앞으로 총2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으로서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 400년 역사가 압축돼 있는 도성 한복판의 명성을 되찾고 주민의 먹고 살 거리가 되는 재생사업을 만들어가겠다"라며 "전 단계를 주민 거버넌스 중심으로 추진해 성공적인 도시재생 모델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