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국가재난예측 '양자컴퓨터' 美와 7.6년 격차…연구환경 '열악'

IT/과학

    국가재난예측 '양자컴퓨터' 美와 7.6년 격차…연구환경 '열악'

    양자컴퓨터 성능 세계 1위 美 대비 41.7%…"신속한 원천 기술 확보 급선무"

     

    미래사회 핵심기술로 지목된 슈퍼컴퓨팅 기술개발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슈퍼컴퓨터가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양자컴퓨팅 기술개발 또한 진전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성태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현재 국내 양자컴퓨팅 기술수준은 선진국(100%)대비 약 41.7%수준으로 나타났으며 7.6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태 의원은 "2005년도 미국표준연구소에서 양자컴퓨터 개발을 시작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해부터야 ETRI 주도로 양자컴퓨터용 SW플랫폼 기술 연구를 시작했다"면서 "현재까지도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중에 있는 양자컴퓨팅 기술이 개발에 착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 밝혔다.

    양자컴퓨터는 양자고유의 중첩원리에 따라 저전력으로 다수의 정보를 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다. 오래 전부터 세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양자컴퓨터가 슈퍼컴퓨터가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인식돼 왔다.

    슈퍼컴퓨터 선진국들은 이미 2000년대부터 양자컴퓨팅 원천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캐나다는 2011년에 1세대 양자컴퓨터를 개발했다. 미국은 캐나다에서 개발된 양자컴퓨터를 수입해 기업 및 산업전반에서 활용하고 있다. 불과 몇 년 만에 미국을 제치고 슈퍼컴퓨터 최강국으로 성장한 중국은 2012년부터 약 3000억 가까이를 들여 양자컴퓨팅 및 관련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양자컴퓨팅 기술 전문가와 투입되는 예산이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미국은 양자컴퓨팅 기술개발을 위해 1200명 이상의 연구자에게 총 4482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 슈퍼컴 신흥국으로 등장한 중국은 1900명 이상에게 총 2739억원을, 독일은 500명 이상에게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70여명의 연구자에게 연간 150억원 정도를 지원하는데 그치고 있다.

    실제로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과학기술응용을 통칭하는 '양자정보통신'의 국내시장 규모는 382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세계 양자정보통신 시장(3조 7000억원)에 1%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은 2008년 수립된 '국가양자정보과학비전'에 따라 NSF, IARPA 등에서 매년 1조원 투자하고 있다. 캐나다와 싱가폴도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각각 매년 500억과 1399억, 일본은 4년간 430억을 지원해 양자컴퓨팅 및 관련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김성태 의원은 "현재 발전중인 인공지능 기술은 신경망 규모와 연산량을 급증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컴퓨팅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며 "양자컴퓨팅 기술을 선점하면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어 "미래부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핵심기술인 양자컴퓨팅 기술개발을 등한시하는 동안 유능한 국내 전문가들이 열악한 연구환경, 적은 연구비 등의 이유로 해외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촉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