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여기저기 떨어지는 낙하산…금융권 낙하산 공습 경보

생활경제

    여기저기 떨어지는 낙하산…금융권 낙하산 공습 경보

    (사진=한국증권금융 홈페이지 화면 캡처)

     

    금융권에 낙하산 공습경보가 발령됐다. 국정감사가 끝나기 무섭게 금융권에 낙하산 인사로 분류되는 이들이 내려앉고 있어서다.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한국증권금융이다. 양형근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가 부사장으로 내정됨에 따라 한국증권금융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직 관료 고위관료 출신 사장으로 시작된 낙하산 인사 논란은 전 청와대 비서관 출신 상근감사로 이어졌다. 이번 부사장에 금감원 출신이 선임되면 사장(금융위)부터 부사장(금감원), 감사(청와대)까지 모두 관 출신으로 채워지는 셈이다. 한국증권금융이 출범한 이후 처음이다.

    한국증권금융은 공기업은 아니지만 준공공기관으로 분류돼 금융위 통제를 받고 있다.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질타가 쏟아졌지만 낙하산 관행은 바뀌지 않았다.

    이뿐 아니다. 최근 한국거래소에도 낙하산 논란이 일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30일 정찬우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했다. 정 이사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 참여한 인사다. 금융권에서는 그를 '청와대 핫라인'으로 부르기도 한다.

    민간 금융협회도 예외는 아니다. 은행연합회는 20일 재정경제부와 금융위원회를 거친 홍재문 한국자금중개 부사장을 전무이사로 임명했다. 생명보험협회도 지난 8월 송재근 전 금융위 과장을 전무로 임명했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가 아니다. 이제 시작이다. 당장 올 하반기 금융 공기업 기관장과 시중 은행장의 임기가 대거 만료된다. 정권 말기와 맞물리면서 정피아(정치권+마피아)에 청피아(청와대+마피아) 등 낙하산 우려는 더욱 증폭되고 있다.

    실제로 당장 다음 달 임기가 끝나는 홍영만 자산관리 공사 사장과 올해 말 임기가 만료되는 권선주 IBK기업은행장 후임으로 각각 기획재정부 출신과 청와대 출신 인사가 선임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이광구 우리은행장(12월30일), 한동우 신한금융지주회장(2017년 3월24일), 조용병 신한은행장(2017년 3월31일), 함영주 KEB하나은행장(2017년 3월31일) 등의 임기 만료도 예정돼 있다.

    KB금융 역시 마찬가지다. 윤종규 회장이 2년여간 겸임해왔던 KB국민은행장 자리를 떼어 놓을 것이란 것이 기정사실처럼 확산되고 있는데, 신임 은행장 낙하산 설도 함께 불거지고 있다. 불과 2년 전 회장과 행장 간 권력 다툼으로 비화된 'KB사태'를 겪은 터여서 낙하산 인사의 KB은행장 낙점설로 은행권 안팎의 우려가 높다.

    게다가 지난 2011년부터 신한금융을 이끈 한동우 회장의 차기 후임자 자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회장은 이미 더이상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대내외적으로 공표한 상황이다. 조용병 신한은행장,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 양강 체제로 전개되는 듯하지만 낙하산 인사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실제로 최근 신한 계열사 대표 출신의 제3의 인물이 비중 있게 떠오르고 있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애초 '민영화 성공'과 '조직 안정' 차원에서 무난하게 연임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했던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연임 가도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정권 말기라는 특수성 탓에 전직 관료 출신이 행장으로 온다는 소문이 금융권에 퍼지고 있어서다.

    금융권의 낙하산 인사 논란은 2년 전에도 불거졌다. 하지만 '내정자'는 유유히 그들이 원하는 자리에 안착했다. 실제로 2013년부터 지난 7월까지 금융 유관기관 등에 재취업한 금융위 출신 공직자는 모두 29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상황임에도 금융당국은 성과연봉제에만 열을 올릴 뿐 낙하산 근절에는 손 놓고 방관하는 모양새다. 금융위가 추진하는 금융개혁에는 낙하산 관행 개혁은 없다는 비아냥이 나오는 이유다.

    앞서 지난 20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9개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투명한 성과평가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금융권의 조속한 성과연봉제 도입을 촉구했다. 하지만 낙하산 개혁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 정권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최근 논란이 되는 낙하산 인사 풍문들은 국내 경쟁을 뛰어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우리의 금융산업의 퇴보와 맞닿아 있어 심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