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적자가구는 역대 최저로 줄고, 흑자가구는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우리 집 통장은 왜 항상 마이너스일까.
이는 통계 수치에 숨어있는 맹점과도 연관이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흑자액이 100만원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100만원이 가계에 남아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한다. 왜 그럴까?
적자가구와 흑자가구를 나누는 기준은 '가처분소득'과 '소비지출'이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가계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액수다. (즉, 가처분소득 = 소득 - 비소비지출) 다시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금액을 기준으로 흑자와 적자가구가 분류된다.
◇ 흑자가구도 대출원금 갚고나면…문제는 비소비지출에는 이자비용이 들어가지만 대출원금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빼고 돈이 남더라도, 남은 돈이 매달 갚아야하는 대출원금보다 적다면 사실은 적자가구인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흑자액이 100만 원이라고 해서 꼭 가계에 100만 원이 남아있다고 해석을 하면 안된다"며 "그 100만 원을 부채를 갚는데 쓸 수도 있으니까 흑자율이 그대로 남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면 현실과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 6월 말 173.6%로 급증하면서, 이제는 대출원리금이 가계 금융에 차지하는 비중을 무시할 수 없게 됐다. 통계에서 잡히는 상당수 흑자가구는 알고 보면 적자가구일 가능성이 높다.
통계청의 2분기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적자가구 비율은 20%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5년 1분기 31.4%에 비하면 10%p 이상 줄어든 것이다.
◇ 대출 갚으랴, 고령화 대비하랴…가계의 이중고
여기에는 앞서 설명한대로 가계대출에 들어가는 돈이 생략돼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실제로 가구의 씀씀이도 줄었다. 지난 2분기 월평균 지출은 328만1천원으로 1년전과 같았고, 물가상승분을 감안하면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4.2%), 의류신발(-2.5%), 가정용품.가사서비스(-5.1%)는 물론 교육(-0.7%)까지 감소했다. 먹고, 입고, 교육하는데 쓰는 비용을 줄인 셈이다.
그런가하면 2분기 월평균 가계소득 증가율은 0.8%,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 기준으로는 0%였다. 결국 소득은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하는 가운데 소비지출을 줄여 가계가 흑자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씀씀이를 줄여 마련한 흑자로는 대출을 갚아야 하고, 또 고령화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미래에도 대비해야한다. 이같은 이중고를 안고 있는 가계의 상황이 적자가구 감소로 나타나고 있다.
적자가구가 줄고 흑자가구가 늘었다고 해서 마냥 좋은 현상이라고 해석할 수만은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