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사태'의 여파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 외교와 군 당국의 핵심 인사가 잇달아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계획을 강조해 그 배경이 주목된다.
대니얼 러셀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외신 간담회에서 "서울에서 어떠한 정치적 상황이 전개된다고 해도 한미동맹은 지난 60여 년과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것"이라며 "사드 배치 일정을 포함한 한미동맹의 중요 우선 순위에 있어 어떠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은 4일 서울서 육군협회 주최로 열린 조찬강연회 연설을 통해 "사드 포대의 한국 전개는 한미동맹 차원의 결심으로, 강한 의지를 갖고 추진할 것"이라며 "8∼10개월 안으로 사드 포대의 한국 전개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내 사드 포대의 규모가 괌 사드 포대를 능가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들 미국 인사들의 발언이 최순실 파문으로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추진에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나온 점에 주목했다.
최순실 파문이 주한미군 사드 배치 일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오바마 행정부가 확고한 추진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신임 총리로 내정된 김병준 국민대 교수가 3일 기자회견에서 사드에 반대하는 소신을 재확인한 것도 영향을 줬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만약 한국에서 거국내각이 꾸려지고 '책임총리' 체제로 이행함으로써 총리가 국정과 관련한 권한을 대거 위임받는다면 대미 정책에서 변화가 이뤄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갖고 '재확인' 차원에서 사드 문제를 거론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미국 입장에서 사드는 한국의 정치 상황에 관계없이 군사적 목적에 따라 추진중이라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던 것 같다"며 "한국 국내 정치 상황에 의해 사드 배치가 철회될 경우 미국으로선 한미동맹에 심각한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