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자료사진)
지난달 말 종료된 정부가 주관한 쇼핑·관광 행사 코리아 세일 페스타(이하 코세페)가 한국 GDP를 약 0.13%p 끌어올리는 등 소비진작 및 내수활성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선 산업연구원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에 따르면 코세페 할인행사 참여업체 매출증가와 외국인 관광객 소비지출 증가분으로 인해 올 4분기 민간소비지출은 약 0.27%p, GDP는 약 0.13%p 높이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앞서 지난해 실시됐던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의 경우 민간 소비지출은 0.2%p, GDP는 0.1%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비진작 효과를 살펴보면 통계청은 소매업종 카드승인액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가 없었던 2015년 10월 추정치와 비교 분석한 결과, 행사기간중 관련 소매업종 카드승인액이 4.8%p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주요 유통업체들은 지난해 대비 12.5%, 2014년 대비 30.7% 증가한 약 8조 7천억원의 총 매출액을 거둬들였다.
다만 이는 341개 참여업체중 규모가 크고, 3년간의 자료제출이 가능한 백화점이나 면세점, 대형마트, 쇼핑몰 등 100개 유통업체만을 대상으로 실적 집계한 결과다.
또 행사기간 중 170만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찾아와 전년동기대비 11만 6천명(7.3%)이 증가했고, 총 관광수입은 2조 2천억원으로 추산됐다.
특히 참여 면세점 매출이 약 1조 1300억원에 달해 지난해 대비 36.6%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코세페에서 전통시장이 소외된다는 지적대로, 중기청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평균 15.4%의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가운데 70.5%만이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중앙회 설문조사에서도 행사에 참여한 150개 시장 응답자의 77.3%가 고객수가 증가했다고 답했지만, 22.0%는 변화가 없었고 0.7%는 오히려 감소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전통시장의 상대적인 참여 부족, 민간의 제한적 역할 등에 대해 민관합동추진위의 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2017년 코리아세일페스타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NEWS:right}
이를 위해 전통시장을 500곳 이상 참여하도록 하는 등 참여업체를 확대하고, 지자체 참여도 늘리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