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저금리시대 끝.. 1300조 가계부채 '발등의 불'

기업/산업

    저금리시대 끝.. 1300조 가계부채 '발등의 불'

     

    미국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저금리시대가 막을 내리고 내년부터 세차례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하면서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뇌관을 건드리는 동시에 급격한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내년 3월, 늦어도 6월부터는 미국 금리인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의 재정확대 정책이 시행되면 물가상승 압력이 커져 금리인상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곧 국내 시중금리 인상 압박을 의미한다.

    이제 '초저금리 시대'의 종언을 예고하는 것이다.

    <금리 오르면="" 가계부채="" 상환="" 부담="" 커져="">

    한국은행이 15일 대내외 불확실성과 가계부채 우려 등을 감안해 금리를 동결했지만, 내년 미국이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해 시장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구나 1,300조원까지 불어난 가계부채는 향후 금리가 조금만 올라도 우리 경제 전체를 위협할 시한폭탄과 같다.

    가계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역시 향후 한층 인상속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지난 10월에만 0.9%포인트 올랐는데, 앞으로 상승 속도가 더욱 가팔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 9월 기준 은행권의 고정금리 대출비중이 41%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700조~800조원은 변동금리형 대출로 추정된다.

    대출금리가 1% 오르면 추가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이자가 7조~8조원에 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계가 져야 하는 이자 부담도 그만큼 커져 부채상환 부담이 연쇄충격을 가져올 수 있고 소비위축과 파산등 경제 악영향은 불을보듯 뻔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가계소득이 5% 하락하고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는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의 평균 원리금 상환액이 1140만원(2015년 기준)에서 1300만원으로 14% 늘어난다고 추산했다.

    특히 제2금융권에서 상대적으로 비싼 금리를 주고 생활자금 등을 빌린 저소득층은 이자 부담이 급격히 커지면서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외국 자본="" 유출="" 우려도="" 커져="">

    이와 함께 미국 금리인상으로 고수익을 쫓는 해외자본이 국내증시에서 이탈하고 외국인 자본이 급격하게 유출될 가능성도 크다.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고금리를 노린 외국인 자금이 국내에 머물 요인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금통위 직후 간담회에서 "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한 번에 그치지 않고 계속된다면 내외 금리차 축소 또는 역전 현상이 심화해서 자본 유출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 지난해 12월 미국이 9년 만에 금리를 올리자 이후 3개월간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6조3,340억원이 빠져나갔다.

    무엇보다도 1,3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상환부담이 커지면서 소비, 투자, 수출이 한꺼번에 침체될 수 있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KDI 정규철 연구위원은 "시장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소득이 적거나 가계부채가 많은 가구를 중심으로 소비력이 제한되면서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