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에 연루된 김종덕(60)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청와대·문체부 핵심 인사 4명이 11일 오전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지난 9일 김 전 장관과 김상률(5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정관주(53)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56)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에 대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및 강요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에 연루된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청와대·문체부 핵심 인사 4명이 11일 오전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했다. 왼쪽부터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김 전 문체부 장관과 정 전 문체부 1차관에게는 위증 혐의도 추가됐다.
김 전 장관과 김 전 수석, 신 전 비서관은 이날 오전 9시 45분쯤부터 차례로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해 '블랙리스트 관여 의혹 부인하느냐', '오늘 무엇을 소명할 것인가' 등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은 채 법정으로 향했다.
정 전 차관만이 '블랙리스트 작성에 연관된 혐의를 인정하느냐'는 질문에 "들어가서 잘 말씀드리겠다"고 짧게 답했다.
이날 영장실질심사는 서울중앙지법 조의연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리며, 구속 여부는 밤늦게 결정될 전망이다.
블랙리스트는 청와대 정무수석실 국민소통비서관실에서 최초 작성됐고, 교육문화수석실을 거쳐 문체부로 넘어가 실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최순실 씨가 블랙리스트에 관련됐는지는 아직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2014년 8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문화·예술 정책을 관장하는 문체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현 정권에 비판적인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기 위해 작성된 블랙리스트 실행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달 열린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서 "블랙리스트를 본 적 없다"며 위증한 혐의도 있다.
김 전 수석은 2014년 12월부터 작년 6월까지 청와대에 근무할 당시 블랙리스트를 소관 부처인 문체부로 내려 보내는데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 전 차관과 신 전 비서관은 2014년 정무수석실 국민소통비서관으로 재직하며 리스트 작성 실무를 맡은 혐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