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미숙아 등의 치료를 위한 신생아중환자실에 대한 정부의 시설.장비 지원이 확대되면서 미숙아 생존율 등이 감소하긴 했지만 지역간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서울대병원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결과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이 고위험 신생아 등에 대한 치료인프라 확산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출생아수 감소와 산모의 평균연령 증가 등으로 쌍둥이와 삼둥이, 미숙아의 출생빈도가 크게 증가해 정부가 신생아 중환자실의 병상수와 인큐베이터 등의 장비 확충을 지원하고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은 체중 2.5㎏ 이하 미숙아 또는 고위험 신생아를 인큐베이터에서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곳이다.
(그래프=보건복지부 제공)
지원사업을 통해 병상수는 2011년 1299개에서 2015년에는 1716개로 늘었다
또 인공호흡기는 947대에서 1334대로,인큐베이터는 1357대에서 1621대로 각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생아사망률은 2007년 출생아 1천명당 2.1명에서 1.7명으로 줄었고,영아사망률은 23.6명에서 2.7명으로 감소했다.
미숙아생존률 역시 1.5㎏ 미만의 경우 62.7%에서 72.8%로 높아졌다.
하지만 신생아중환자실의 지역간 편차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의 경우 출생아 1천명당 신생아중환자실은 7.1곳인데 비해 전남·경북은 0.7곳에 불과했다.
실제로 올해 순천향대 구미병원이 올해 경북 도내 유일의 신생아중환자실 문을 닫았다.
복지부는 앞으로 신생아집중치료실을 확대하고 고위험산모와 신생아를 함께 치료하는 센터와 연계 체계를 갖추는 등 종합적인 관리를 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