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은 고소득층보다 3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서민층 체감 경기와 정부 통계 간의 괴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13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5년 소득 10분위별 지출비중에 가중치를 따로 매겨 물가지수를 각각 계산한 결과, 최고소득 구간인 10분위 입장에서의 연간 물가 상승률에 비해 최저소득 구간인 1분위가 느꼈을 물가 상승률이 3배 가량 높았다.
김 의원실은 2012년 물가지수를 100으로 봤을 때 2013∼2015년 3년 간 지출비중을 고려한 소득구간별 물가지수 상승률을 각각 산정해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그 결과 1분위의 물가상승률이 1.3%로 가장 높았고, 2∼5분위까지는 1% 내외 상승률을 나타냈다. 6분위부터 고소득 구간은 모두 0%대 상승률을 보이면서 10분위는 0.41%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소득 구간별로 물가상승률 격차가 큰 이유는 소득에 따라 소비자 물가 측정 기준이 되는 품목의 소비 행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지출을 강요당하는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식료품 지출비중이 높아서, 1분위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비중은 2012년 기준 23.6%였지만 10분위는 같은 기간 11.1%에 그쳤다.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0.7%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지만, 채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2.1%나 치솟았던 것이 저소득층에게는 뼈아팠다.
반면 고급 외제차를 모는 고소득층은 교통비 지출비중이 높아서 10분위 지출비중은 14.4%로 1분위(7.4%)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2015년은 저유가 기조로 석유류 가격이 하락, 10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이 1분위에 비해 더 낮아졌다.
통계청은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0.97(2015년=100)로 전년 대비 1.0% 상승했다고 밝혔지만, 이러한 정부 공식 물가지수에는 소득별 차이는 반영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비단 물가 뿐 아니라 이를 포함한 경제적 고통에 대한 체감 수준도 정부와 서민들 간의 인식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정부 공식지표(2.0)의 무려 12배에 달하는 23.7로 나타났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 물가상승률(1.0%)과 실업률(3.7%)의 합에서 경제성장률(2.7%)을 뺀 수치를 말한다.
하지만 정작 국민들이 느끼는 물가상승률은 정부 공식 지표의 9배인 9.0%, 실업률은 3배에 가까운 11.4%로 느낀 반면 경제성잘률은 -3.3%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은퇴 이후 별다른 수입이 없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60대(38.7)와 취업난을 겪는 20대(26.7)의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