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년만에 구제역 위기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전국 가축시장을 폐쇄한 10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파주연천축협 가축시장이 텅 비어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해마다 구제역이 반복되고 있으나 '농민에게만 맡긴' 허술한 구제역 백신접종으로 구제역 방역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백신구매부터 접종까지 모든 것을 스스로 책임져야하는 중대형 축산 농장들은 "어떤 소에 접종했는지도 헷갈린다며 일년내 백신접종만 해야 하느냐"고 하소연하고 있다.
일괄적인 접종과 항체검사 등 근본적인 구제역 백신접종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구제역 백신접종 소 50마리 이상 농가 책임…체계적 관리 안돼 구제역이 확산되면서 정부와 농민들이 서로 네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농민들이 백신을 제대로 접종하지 않았다", 축산농민들은 "백신 접종 등 하란데로 다 했는데 왜 이 모양이나"며 물백신 논란을 제기하는 등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구제역이 해마다 빈발하면서 농가 자율에 맡긴 현 접종 방식이나 백신 접종이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는 혈청검사 등 백신 접종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현재 50마리 이하 소규모 소 사육농가는 공공수의사가 직접 농가를 방문해 백신 접종을 하고 50마리 이상 소 사육 농가는 농민이 백신을 자가 접종하고 있다.
백신구매부터 접종까지 모든 과정이 전적으로 농가에 맡겨져 있지만 농민들이 백신을 제대로 접종했는지 효과가 있는지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의 젖소 농장 최모 씨는 "자가접종을 했는데 구제역 발생 뒤 항체 형성률 검사 결과 19%가 나와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구제역 확산에 충격과 불안을 느낀 축산 농민들은 "백신 접종은 공공수의사 등 전문가가 맡아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일년내 백신접종, 어떤 소 접종했는지 헷갈려"정부는 2010년~2011년 소·돼지 348만 마리가 살처분되는 최악의 구제역을 겪은 뒤 백신 접종을 의무화했다.
소의 경우 생후 2개월에 한 번 접종한 뒤 한 달뒤 한 차례 더 백신을 놔야 한다. 이후에는 6개월에 한 번씩 반복 접종해야 한다.
소 50마리 이하의 소규모 농가는 공공수의사가 백신을 놓아 주지만 50마리 이상 농가는 축산 농민들이 모든 것을 관리해야 한다.
충북 보은군의 공공수의사 송진우 씨는 "보은의 구제역 확산을 보며 참담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며 "지금처럼 농민들에게 맡겨 제각각 이뤄지는 백신 접종 시스템으로는 체계적인 관리와 예방이 어렵다"고 밝혔다.
"왜냐하면 소 100마리 이상 등 대규모 농가는 송아지 태어난 날짜가 다 틀리기 때문에 그에 맞춰 백신을 접종하려면 오늘하고, 2~3일 뒤 또 하고 일년내 접종만 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때문에 농장에 가면 "농장 주인 자신도 어떤 소를 접종했는지 헷갈리고 접종할 소 찾기도 힘들다는 하소연을 많이 듣는다"고 덧붙였다.
체계적인 백신 접종과 항체형성, 관리가 제대로 될 리가 없다.
구제역이 집중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탄부면 지역은 100여 농가가 소 9,000마리, 돼지 3,500마리를 사육하는 축산 밀집지역이다.
소 200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대규모 농장도 10여 군데에 달한다. 보은군의 공공수의사 6명은 50마리 이하 농가만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 백신접종 일괄 접종, 항체관리로 개선 필요축산 전문가들도 "축산농가에 백신 접종을 전적으로 맡겨서는 제대로 된 방역을 기대하기 힘들다"며 "접종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공공 수의사 송진우 씨는 "구제역이 주로 발생하는 겨울철이 되기 전에 면역형성과 항체를 올려놓기 위해 전국적으로 11월에 일괄 접종하고 6개월뒤 5월에 일괄 접종한 뒤 혈청을 검사해 관리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옥천군청의 수의사 오시나 씨는 "대규모 사육농가들은 소를 1~2년 키우신 분들이 아니라 비교적 백신 접종을 잘하고 있지만 덩치가 큰 소 근육에 제대로 주사해 항체형성 효과가 있도록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수의사도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농식품부는 "소 50마리 이상 규모화된 농가에 대해서도 정부 차원의 예방 접종을 실시하기는 예산이나 인력 확대 등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는 농장과 도축장 출하 가축을 대상으로 항체형성율 모니터링을 해 기준치보다 낮은 농가 대상으로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지난해는 항체형성율 기준 미달 농가 69건에 8,6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하지만 수의사가 놓은 소도 항체형성율이 낮게 나오는 등 백신과 현재 방역 시스템에 대한 불신만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2월 5일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2월 6일부터 소에 대한 시료채취 두수를 기존 농장당 1두에서 5두로 확대하고 소에 대한 검사주기도 현재 1년 1회 검사에서 반기별 1회 검사로 강화하는 등 뒤늦게 대책에 나섰다.
하지만 해마다 반복되는 구제역 차단을 위해서는 규모화된 농가의 백신 접종도 국가가 관리하고 일괄적인 접종과 항체검사 등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