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분유 훔칠 순 없어 구걸도 했죠" 극한에 몰린 '미혼부'

사회 일반

    "분유 훔칠 순 없어 구걸도 했죠" 극한에 몰린 '미혼부'

    [미혼부, 아버지의 이름으로 ①] 닥치는대로 일해도 빈곤



    결혼은 하지 않고 홀로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 바로 '미(未)혼부' 수가 1만여명을 훌쩍 넘어섰다. 그러나 이들을 바라보는 주위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 제도적 지원도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한부모 가정, 그 가운데서도 철저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미혼부 가정의 실태를 통해 현 상황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분유 훔칠 순 없어 구걸도 했죠" 극한에 몰린 '미혼부'
    ② "이 기저귀 몇 살 용이죠?" 육아정보 구걸하는 '미혼부'
    ③ '따가운 시선과 탁상행정' 사각지대로 밀려난 '미혼부'


    ◇ 퇴폐업소에서 자란 사랑이…"엄마 사랑 못줘 미안"

    어릴적 젖병을 물고 있는 사랑이 모습. (사진=사랑이 아빠 제공)

     

    사랑이 아빠 김 모(40) 씨는 오늘도 삼각김밥으로 끼니를 때운다. 그렇게 돈을 아껴 4살 난 딸이 좋아하는 짜장면을 한 그릇이라도 사주고픈 마음에서다.

    천 원짜리 한 장이 아쉬운 생활이지만, 그래도 요즘은 일이 끝난 뒤 어린이집에 사랑이를 데리러 가는 길에서 행복을 느낀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김 씨는 예방접종조차 제대로 시키지 못해 쩔쩔매는 처지였기 때문이다.

    친모의 행방을 몰라 아이 출생신고까지 1년 이상을 허비한 게 컸다. 출생신고가 안 되니 예방접종을 비롯해 의료보험 혜택을 제때 받을 수 없었다. 김 씨는 "비용 마련 때문에 다음 예방접종 날짜가 아닌 금액부터 묻게 되더라"면서 "주사는 반드시 맞혀야하니까 아무리 어려워도 10만 원씩은 항상 준비해 뒀었다"고 말했다.

    하필이면 이때 김 씨가 구한 일자리가 퇴폐업소에서 카운터 일을 보는 것이었다. 담배연기가 스며드는 내실에서 사랑이를 눕히고 중간 중간 돌보는 수밖에 없었다. 김 씨는 "먹고 살기 위해 사랑이를 몹쓸 곳에까지 데려온 것이 맘에 걸려 매일 하나님께 손 모아 기도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고군분투했지만 김 씨는 결국 사랑이의 병원비를 버텨내지 못하고 신용불량자 신세가 됐다. 사랑이의 폐에 물이 차 중환자실에 2주간 입원하게 됐고, 김 씨는 병원비를 감당할 재간이 없었다.

    당시 김 씨는 분유를 훔친 엄마가 선처를 받았다는 뉴스를 보고 똑같이 범행을 저지를 생각까지 했다. 하지만 경찰이 친자등록이 안 된 딸을 자신과 강제 격리시킬까봐 두려워 그럴 수도 없었다고 한다.

    결국 김 씨는 길거리에 나앉아 구걸하는 신세에 이르렀다. 하루 벌이는 5만 원 정도로 적지 않은 액수였다. 김 씨는 "5만 원에 자존심도 버릴 수 있는 내 자신을 보고 아이를 학대하는 기분이 들어 미쳐버릴 것 같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사랑이에 대한 책임감 하나로 다시 일어선 김 씨는 현재 여러 개의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김 씨는 "아이에게 부모 둘의 사랑을 주지 못하는 고통을 줬는데, 여기서 양육마저 포기하면 또 잘못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소득 잡히면 지원 뚝…'전쟁터'로 내몰려

    백화점에서 사랑이가 사진을 찍어주는 아빠를 향해 웃고 있다. (사진=사랑이 아빠 제공)

     

    미혼부 김형진(33) 씨는 아이가 2살 될 때까지 퀵서비스, 대리운전, 카센터, 안테나 설치일까지 웬만한 일은 다 해봤다. 그러나 정규직 일자리는 없었다. 아이 때문에 유치원과 병원에 시도 때도 없이 불려가야 하니 어쩔 수 없었다. 말 그대로 '24시간 대기조' 인생이었다.

    힘들게 돈을 모아 트럭운송일을 시작했다. 자신이 근무 일정을 조정할 수 있는 만큼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달려갈 수 있어서다.

    하지만 그것이 불행의 시작일 줄은 꿈에도 몰랐다. 트럭이 김 씨의 '재산'으로 잡히면서 '근무 능력이 있는 성인 남성'이라는 이유로 기초생활수급대상에서 배제된 것이다. 일정 소득이 생기자 월 12만 원씩 주던 한부모가족 지원도 끊겼다.

    김 씨는 이전보다 더 열심히 돈을 벌어야했다. 아이 맡길 곳이 없어 쿵푸학원에 등록했다. 원장에게 형들과 저녁 7시까지만 놀게 해달라고 간곡히 부탁했다. 그렇게 3살 난 아이는 아빠 곁을 떠나 체육관에서 컸다.

    6살이 된 아들은 다른 애들처럼 아침에 유치원에 가지 않겠다고 떼쓴 적이 없다고 한다. 김 씨는 "유치원을 가야 밥을 먹을 수 있다는 걸 이미 어린 나이에 알았던 것 같다"며 속상해 했다. 그러면서 "돈 많은 집안이 아닌 이상 누군가가 애를 혼자 키운다고 했을 때 바짓가랑이를 잡고 말릴 것"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하지만 아빠는 단 한번도 아들을 홀로 키우고 있는 걸 후회한 적이 없다. 김 씨는 "집에서 내 앞길을 생각해 아이를 입양 보내자고 했지만 차마 그럴 수 없었다"면서 "가족과 인연을 끊게 되는 한이 있어도 아이는 키워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 "지금 바짝 벌어야" 친구집에 아이 맡기기도

    서울 신촌에서 바텐더 일을 하는 고 모(37) 씨는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최대한 빨리 만들기 위해 쉴 새 없이 일한다고 한다. 아픈 아이를 위해 빚을 내 산 자동차와, 대출받아 마련한 작은 집 때문에 정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운 좋게도 경남 마산에 신혼집을 꾸린 친구가 있어 갓 태어난 아기를 한동안 맡길 수 있었다. 매주 일요일 12시간씩 운전해 아이를 만나고 일터로 돌아갔다.

    고 씨는 "4살 전에 바짝 벌면 아이와 다시 만났을 때 더 나아진 환경에서 당당하게 웃을 수 있을 거 같아 그날을 꿈꾸며 힘든 줄 모르고 일했다"고 말했다.

    놀이터에서 즐겁게 그네를 타고 있는 사랑이 모습. (사진=사랑이 아빠 제공)

     

    취재진이 만난 미혼부들 대부분은 금전문제를 육아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가정을 꾸릴 형편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덜컥 아이를 가져 경제적 여유가 없는데다, 사회적 약자일 수밖에 없는 이들에 대한 정부지원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기초생활수급자를 선정할 때 근로능력을 본다"면서 "남성은 일용직 노동만 해도 일정한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정부보조금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전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