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中小 제조업 임금 月 321만원…대기업의 '반토막'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 격차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2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완화와 생산성 향상 방안' 세미나에서 지난해 중소기업의 임금 총액은 월평균 323만원으로 대기업의 513만원의 62.9%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정액 급여는 75.6%, 초과급여는 59.6%였고, 성과급 등 특별급여는 28.9% 수준이었다.

이에따라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지난 1997년 77.3%에서 14.4%포인트 더 벌어졌다.

또 미국(76.0%), 일본(79.0%), 독일(73.9%) 등 주요 국가에 비해서도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제조업에서 임금 격차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체의 임금 총액은 월 321만원 수준으로 대기업 584만원의 54.9%에 머물렀다.

이 가운데 정액 급여는 1997년 92.5%에서 지난해 75.6%로, 특별급여는 같은 기간 52.1%에서 28.9%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다만 초과급여는 1997년 56.1%에서 지난해 59.6%로 격차가 다소 완화됐다.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은 대기업의 29.1%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주요 국가들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의 경우 프랑스는 70.0%, 독일 60.8%, 영국 57.5%, 일본 56.5% 등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은 이같은 임금, 노동생산성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중소기업 성과공유제 활성화를 제안했다.

중소기업 성과공유제는 중소기업이 현금, 주식, 공제 및 기금, 동반성장 등의 방법으로 근로자와 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다.

중소기업이 성과공유제를 활용하는 비율은 2015년 기준 36.0% 정도로 낮은 편이다.

성과공유제를 활용하는 중소기업은 1개사당 평균 1억 1천482만원의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매출액 대비 0.65%에 불과하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직원의 73.0%가 성과공유제가 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면서 "핵심 인력의 장기 재직에 영향을 미친다고 대답한 비율도 높은 편이었다"고 전했다.

노 연구위원은 성과공유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기업 미래가치나 이익을 근로자와 공유하기로 약정하는 '미래성과공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0

0

전체 댓글 7

새로고침
  • NAVERKukie2020-11-04 11:12:21신고

    추천6비추천2

    몰라서 묻나? 삶은 소대가리 문재인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것이다! 알간?

  • KAKAO혜원이오빠2020-11-03 21:32:02신고

    추천20비추천10

    검찰개혁 좋은 얘기다.
    그러나 이재명이 할 말은 아닌 것 같다.
    나는 이재명 기사만 보면 왜 현대건설 태진아와 크로스 될까요?
    이번에 감옥 안 갔다고 대통령이 될 만한 윤리가 되는가? 이 전에 대통령을 뽑을때 인간성은 안보고 편가르다 보니 이명박 같은 인간이 대통령이 나온 것이 아닌가.
    이재명과 이명박하고 다른게 뭐가 있나? 양가죽을 뒤집어쓴 양아치 아닌가?

  • NAVER푸른하늘아래2020-11-03 19:17:01신고

    추천19비추천9

    욕이나 비속어 쓸 필요없습니다. 검찰개혁은 예전부터 꼭 필요한 사항이였죠..참..반성모르고 특권의식에 쩔은 검사와
    시스템 모두 바꿔야 하죠..뭐..다그런건 아닙니다만..그들만의 세계에 들어가면 참..사람 변하는건 시간문제죠..ㅠㅠ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