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수도권 부동산 급등' 이유 있네…허위매물 신고 90% 집중



국회/정당

    '수도권 부동산 급등' 이유 있네…허위매물 신고 90% 집중

    허위매물 신고 '서울 40.5%, 경기도 49.8%'
    전년 대비 허위매물 신고 88% 증가…실제 허위매물 확인된 사례도 28% 증가
    "투기세력, 집값 유지나 상승 위해 가격 낮은 매물을 모두 허위매물 신고"

    (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던 올해 정부 당국에 들어온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의 90% 이상이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1~8월 동안 접수된 허위매물 신고 수가 지난 한 해 접수된 신고 수보다도 46%p나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투기세력이 기승을 부리고 서울.경기 등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교란된 것이 올해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 '수도권에서' 허위매물 신고 90.3%

    6일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이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는 모두 7만3847건이었다.

    이중 서울에서만 2만9928건(40.5%), 경기도에서는 3만6801건(49.8%)으로 각각 신고돼, 전체 신고 수의 90.3%를 기록했다.

    인천과 대구가 2231건(3%)과 1479건(2%)로 뒤를 이었고, 나머지 도시들은 신고 수가 전체의 1%도 되지 않았다.

    대전이 646건(0.9%), 부산 594건(0.8%), 충남 502건(0.7%), 경북 478건(0.6%), 세종 353건(0.5%), 경남 264건(0.4%), 울산 101건(0.1%), 전북 52건(0.1%), 전남 31건(0.0%), 광주 20건(0.0%), 제주 16건(0.0%)으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허위매물 신고가 빗발쳤다는 통계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투기 세력이 부동산 가격을 부풀리거나 유지하기 위해 실거래가에 정상적으로 거래되는 매물이나 실거래가보다 낮게 나온 매물을 허위매물로 거짓신고를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상매물을 허위매물로 신고해 매매자와 중개업소에 압력을 행사함으로써 시장에 비싼 부동산 매물만 남게 한다는 것이다.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 관계자는 "신고가 이례적으로 많이 접수된 이유는 부동산 투기 세력들이 집값을 유지하거나 상승시키려는 조직적 행동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허위매물 신고, 전년 대비 88% 증가

    부동산 시장이 올해 유난히 교란된 정황은 또 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허위매물 신고는 7만3847건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접수된 허위매물 신고 건수(3만9269건)보다 무려 88%p나 증가한 수치다.

    신고 건수가 많아지면서 정부 당국의 조사도 강화돼 허위매물로 확인된 물량도 상당히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허위매물로 확인된 사례는 모두 3만8316건이다. 지난해 허위매물 확인 사례가 2만7712건인 것을 감안하면, 올해 8개월 동안의 허위매물이 지난해 1년 동안의 허위매물보다도 28%p 이상 많은 것이다.

    주목할만한 점은 올해 허위매물로 확인된 사례가 지난 8월에 급증했다는 점이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나오기 한 달 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월 4713건, 2월 5475건, 3월 4578건, 4월 3466건, 5월 3132건, 6월 3014건, 7월 4210건인데, 8월은 1만479건에 달한다.

    권칠승 의원은 무분별한 허위매물 신고나 허위매물이 게시된 사례 등을 '가짜뉴스'에 빗대면서 "투기세력이 기승을 부리면서 부동산 시장이 혼란에 빠지고 결국 부동산 가격만 올라가게 됐다"며 "'내 집 마련'이 꿈인 일반 서민들만 고통받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관계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과 처벌 강화 등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