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미혼과 기혼, 대통령과 각하 사이...언어의 줄다리기"



사회 일반

    "미혼과 기혼, 대통령과 각하 사이...언어의 줄다리기"

    이 말 할까, 저 말 할까..'줄다리기'
    단어 선택에 사회 변화 담기기도
    남기자, 남검사 라는 말은 왜 없을까?
    신조어? "과거에도 청소년들 간에는.."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

    예전에는 대통령 뒤에 각하를 붙이는 게 당연한 거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더 이상 각하라는 말은 쓰지 않죠. 그러면 과부 대신 쓰는 미망인이라는 말은 어떨까요. 여교수, 여검사, 자장면. 이런 건 다 어떨까요. '우리는 지금도 끊임없이 언어와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렇게 외치는 분이 있습니다. 바로 고려대학교 신지영 교수인데요. 이게 무슨 얘기인지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 직접 만나보죠. 책 <언어의 줄다리기="">의 저자 신지영 교수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 신지영> 안녕하세요. 영광입니다. 제가 김현정의 뉴스쇼 왕팬입니다.

    ◇ 김현정> 지금 일부러 그러시는 거 아니고 진짜로 들으시는거죠? (웃음)

    ◆ 신지영> 물론입니다. 7시 반부터 늘 듣고 있습니다. (웃음)

    ◇ 김현정> 감사합니다. 그렇군요. 우리 애청자, 왕애청자가 오늘은 패널로 출연하셨어요.

    ◆ 신지영> 왕애청자입니다.

    ◇ 김현정> (웃음) 신지영 교수님 별명이 언어 탐험가시더라고요. 아니나 다를까 책 제목도 '언어의 줄다리기'예요. 우리는 끊임없이 언어와 언어가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게 무슨 말씀입니까?

    ◆ 신지영> 제가 어느날 말을 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니까 제 마음속에서 이렇게 줄다리기가 일어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말을 할까 저 말을 할까. 지금 들어갈까 나중에 들어갈까. 이런 식의 줄다리기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더라고요. 그러다가 언어라는 건 사회 속에 존재하는 거니까, 이 언어 표현들 사이에 사회에서 줄다리기가 일어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 김현정> 그러니까 내가 어떤 언어를 선택할 때도 줄다리기는 끊임없이 일어나고 또 사회 안에서도 이 언어를 쓰느냐 저 언어를 쓰느냐, 사회도 줄다리기를 하고 있더라는 말씀.

    ◆ 신지영> 그래서 한 번 사회로 눈을 돌려서 언어 표현들 사이에 왜 이런 줄다리기가 일어나고 있는지 이거를 한번 관전해 보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을 쓰게 됐고요.

     

    ◇ 김현정> 그러면 이미 사회적으로 줄다리기가 끝나서 한쪽이 확실하게 이긴 단어들도 있고 아니면 아직도 줄다리기가 진행 중인 단어들도 있고 그런 거예요?

    ◆ 신지영> 네, 그렇습니다. 아주 대표적인 게 대통령 각하와 대통령님의 줄다리기죠. 대통령 각하는 이제 더 이상 쓰지 않는 표현이고요. 물론 최근에도 이런 표현들이 문제가 된 적은 있지만 대통령 각하는 이제 쓰지 않는 그런 표현이 됐죠.

    ◇ 김현정> 그래요. 또 그러고 보면 장애인의 반대되는 의미를 예전에는 나는 정상인이야. 이렇게 많이 썼어요. 그런데 이제는 그렇게 쓰지 않잖아요. 나 정상인? 그러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라는 뜻인가 이런 것들.

    ◆ 신지영> 그렇게 써오다가 어떤 사람이 언어 습관을 자각하게 됐죠. 그러면 장애인들은 비정상인이라는 말이야? 이렇게 줄다리기를 하기 시작했고 그 줄다리기에 공감한 많은 사람들이 비정상인의 상대되는 말이 정상인이다. 그런데 왜 그런 말을 쓰느냐 해서 비장애인이라는 말을 쓰자. 이렇게 줄다리기를 하게 됐고 지금 정상인이다라는 말은 더 이상 장애인에 대응되는 말로 쓰지 않고 있죠.

    ◇ 김현정> 그래요. 이런 여러 언어의 줄다리기 과정들을 기술하고 계시는데 그중에서도 좀 특별한 것들, 이런 제안도 하셨어요. 우리는 미혼, 기혼. 그러니까 결혼한 사람, 안 한 사람 당연히 이렇게 나누는데, 나눠서 부르는데 이 단어도 한번 다시 생각해 보자 그러셨네요?

    ◆ 신지영> 네. 왜냐하면 설문 조사를 하거나 그럴 때 당신은 어떤 상태입니까? 미혼입니까, 기혼입니까? 정답지가 딱 2개밖에 없습니다, 답지가. 그런데 미혼하고 기혼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은 미혼, 아직 결혼을 안 했거나 기혼, 이미 결혼을 했거나. 둘 중 하나의 범주에 속한다는 세계관을 갖고 있거든요. 그런데 미혼이라는 건 아직 결혼을 안 했으니까 언젠가는 결혼을 할 거다. 이런 이데올로기를 심어주는 것이고요.

    ◇ 김현정> 아직 미. 그러니까 아직 안 했다, 언젠가는 할 건데 아직 안 했다.

    ◆ 신지영> 언젠가 할 거다. 그렇다면 결혼을 안 하고 싶은 사람은 자신을 어디다가 써야 될까. 이런 문제들을 생각하게 되는 거죠. 나는 결혼을 안 할 건데 아직 결혼 안 했다에 동의하기가 어려우니까요. 그리고 또 한 번은 기혼인데요. 이미 결혼을 했다. 그런데 이미 결혼을 했지만 이혼을 한 사람은 미혼인가요, 기혼인가요.

    ◇ 김현정> 흔히들 돌싱이라고 하죠.

    ◆ 신지영> 돌싱은 거기 답지에 없으니까 이 사람들이 나는 어디다 해야 되지? 굉장히 심각한 문제가 되었고요. 이혼율이 급증하면서 이런 범주, 두 가지 범주로 사람을 나누는 것에 대해서 이거 참 불편하다. 이런 사람들이 생기게 된 거죠.

    ◇ 김현정> 그러니까 우리가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약자들에 대한 고려가 그만큼 없었다는 얘기예요.

    ◆ 신지영> 맞습니다.

    ◇ 김현정> 새로운 변화를 담아낼 수 있는 어떤 언어가 더 생겨나야 한다는 말씀인데 여교수, 여검사 뭐 여류 시인. 이런 것 쓰지 말자는 말은 예전부터 듣기는 들은 것 같은데 그건 왜 그런 거예요?

    ◆ 신지영> 왜냐하면 남기자라는 단어는 없거든요.

    ◇ 김현정> 없죠.

    ◆ 신지영> 그러니까 기자는 남자라는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거든요.

    ◇ 김현정> 기자는 남자인데.

    ◆ 신지영> 여성이 기자네? 신기하네? 그러면 이름을 붙여줘야겠네. 이러다 보니까 여기자, 여검사 이런 단어들이 생기게 됐죠. 그런데 간호사는 여간호사 이런 말이 없잖아요.

    ◇ 김현정> 그러네요, 그러네요. 남자를 오히려 남간호사라고 하기는 해요.

    ◆ 신지영>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언어의 세계는 사실 논리의 세계하고는 달라서요. 여가 있으면 반드시 남이 있고 남이 있으면 반드시 여가 있고 이런 게 아니고 어떨 때는 두 집단을 대표하는 단어가 한 성별을 또 대표하게 되는 이렇게 되어가는 경우도 있다는 거죠.

     

    ◇ 김현정> 그러네요, 그러네요. 그러니까 특별히 어떤 교수 중에서도 여자인 것을 특별히 드러내야 할 경우에는 여자 교수님. 이렇게 얘기할 수는 있겠지만 평소에 그냥 그런 이유가 없이도 여교수, 여검사, 여기자. 이렇게 붙이지는 말자는 말씀이세요. 구별하지 말자.

    ◆ 신지영> 그렇게 된다는 건 여성이 기자이거나 여성이 교수이거나 이거는 좀 이상하다, 특별하다. 이런 의미를 동의하지 않는다면 그런 단어를 쓸 필요가 없다는 거죠. 그러니까 우리가 언어라는 것은 학습에 의해서 되는 거기 때문에 이전의 가치관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투영돼서 우리가 학습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이런 표현이 있는 건 어제 그런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고요. 그런데 갑자기 내가 이런 표현이 불편해지는 건 내 생각이 바뀌고 사회가 바뀌었는데 언어가 아직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거든요. 그래서 이런 순간에 줄다리기가 벌어지게 되고 옛날의 가치관을 담고 있는 표현들에 대해서 줄다리기를 통해서 이런 것들을 점점점점 쓰지 말자. 이런 자각들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죠.

    ◇ 김현정> 그러니까 그때는 맞았더라도 지금은 틀린 그 단어들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고민하자는 말씀이신데 그러면 요즘 10대, 20대들이 신조어 정말 많이 써요. 저는 못 알아듣겠는 단어가 너무 많은데 예를 들어 여러분 '갑분싸' 이거 무슨 말인지 아세요? (웃음) 'TMI' 이런 거. 또 빼박캔트, 에바참치. 이런 거 들어보셨어요? 모르시겠죠? 아이들은 너무도 흔하게 10대들은 쓰고 있거든요.

    ◆ 신지영> 맞습니다.

    ◇ 김현정> 이거 어떻게 바라보세요?

    ◆ 신지영> 그런 일은 사실 우리가 어렸을 때도 다 있었던 일이죠. 어른들이 우리에게 왜 이렇게 많이 줄여서 말하니. 이런 말 쓰지 말아라. 이런 말을 굉장히 많이 들었는데 이거는 계속해서 반복되는 일이거든요. 이 언어라는 건 여러 가지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신조어를 만들고 언어를 배우고 그다음에는 배운 걸 가지고 활용해 보고 싶은 거죠. 젊은 특히 청소년들은요. 그러면서 자기들만의 어떤 방식으로 새로운 단어를 만들고 유통시키고 재미와 그다음 유대감을 느끼고 이러다가 또 그 단어는 어느 순간 또 없어지고 이런 게 사실은 언어의 어떤 속성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어른들은 불편한 거죠.

    ◇ 김현정> 불편하죠.

    ◆ 신지영> 왜냐하면 '아니, 언어는 내가 가르쳐준 건데 내가 알아듣지 못하는 말을 하고 있다니 이게 어떻게 된 거지?' 이러면서 불편함을 느끼면서 아이들을 비난하고 이 비난은 계속해서 수천 년 동안 일어나는 그런 비난이 되어온 거죠.

    ◇ 김현정> 저도 어린 시절에 썼던 말 중에 이게 사회적으로 용납이 되는 수준까지는 지금도 쓰고 있고 그게 아닌 것들은 알아서 도태가 되고 안 쓰게 되고 이렇게 되네요. 무조건 쓰지 말아라 하는 게 이게 옳지는 않네요.

    ◆ 신지영> 네, 맞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끊임없이 저도 무슨 이야기하기 전에, 언어 쓰기 전에 마음 속에서 줄다리기 한 번씩 세게 시켜보겠습니다.

    ◆ 신지영> 너무 잘하시고 계세요. (웃음)

    ◇ 김현정> 오늘 고맙습니다, 교수님.

    ◆ 신지영>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고려대학교 신지영 교수였습니다. (속기=한국스마트속기협회)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