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생활 속 미세먼지, 대중교통은 과연 안전할까



경제 일반

    생활 속 미세먼지, 대중교통은 과연 안전할까

    고농도 미세먼지 습격에 차량 운행 제한 강화 조짐
    지하철·버스정류장 미세먼지 농도는 '나쁨' 수준 육박
    정부, 2022년까지 지하철 공기 13.5% 개선 약속하기도

     

    최근 정부가 미세먼지 해법 중 하나로 민간 차량 운행 제한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정작 시민들이 자가용 대신 이용해야 할 대중교통의 공기질은 아직 열악하기만 하다.

    지난 1월 정부는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조치 강화방안을 발표하면서 '민간차량 2부제' 등 강도 높은 차량 운행 제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예고했다.

    환경부 조명래 장관은 "조금 더 강도 높은 차량운행제한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이 필요하다"며 "이를테면 일주일을 넘어서는 고농도 미세먼지 상태가 지속된다면 차량2부제를 실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자가용을 사용할 수 없는 시민들이 이용할 대중교통이야말로 미세먼지 위험지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정부가 2차례에 걸친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을 추진해 전반적인 공기 오염도는 개선 추세지만,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실제로 2017년 기준 지하철 역사의 미세먼지(PM10) 농도는 ) 69.4㎍/㎥, 지하철 차량 객실 안 미세먼지 농도는 더 심각해서 74.3.㎍/㎥에 달한다.

    버스와 택시를 기다리는 도로변 정류장은 매연에 더해 타이어 분진 등 각종 미세먼지에 고스란히 노출된다.

    게다가 가라앉았던 먼지도 지나가는 차량에 떠올라 '비산먼지' 형태로 퍼지기 때문에 평균 44㎍/㎥~97㎍/㎥에 이를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일기예보에서 미세먼지 농도별 예보등급으로 따지면 80㎍/㎥부터 '나쁨' 등급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대중교통 현장 공기의 평균치가 줄곧 '나쁨' 수준인 셈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지난 1월 '2019년도 생활환경정책실 상세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지하철 역사 실내 먼지를 2022년까지 13.5% 줄이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오는 7월부터 강화된 미세먼지(PM10 150→100㎍/㎥), 초미세먼지(PM2.5 신설, 50㎍/㎥)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예산 200억원을 새로 편성해 환기설비 교체(103대), 자동측정망 설치(255대), 노후역사 환경개선 공사(잠실새내역) 등 실내공기질 개선사업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더 나아가 전문가들은 자칫 차량 운행 제한이 '미세먼지 마시기' 정책으로 뒤바뀌지 않도록 하루빨리 미세먼지 문제를 개선하도록 정부가 더 적극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부위원장인 정지권 시의원은 "예를 들어 지하철 차량 브레이크 패드와 철로의 마찰을 최소화해 터널 내 미세먼지 발생을 영구자석모터(PMSM)이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기존 운행 중인 전동차는 아직 개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차량 바퀴를 조정해 곡선구간에서 철로와의 마찰을 줄이는 '능동조향대차' 기술은 국내 개발에 성공했는데도 별다른 이유 없이 도입이 늦어지고 있다"며 "정부와 공공기관 등이 관행에 얽매이지 말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신기술 개발 및 도입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