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마항쟁 첫 사망자 인정' 환영…진상규명 계속돼야"



경남

    "'부마항쟁 첫 사망자 인정' 환영…진상규명 계속돼야"

    부마항쟁기념사업회 "유씨 억울함과 유족 응어리 조금이나마 풀어줘"
    "부마진상규명위원회 활동 연장돼야"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와 고 유치준 유족들이 6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유 씨의 아들 유성국씨가 유씨의 부마항쟁 사망자 인정과 관련한 소감을 밝히고 있다. (사진=경남CBS 이상현 기자)

     

    고 유치준 씨가 부마민주항쟁 관련 사망자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에 대해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유씨의 유족들도 이제라도 억울한 죽음이 밝혀져 다행이라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국무총리실 산하 부마항쟁진상규명위원회는 5일 부마민주항쟁 당시 변사체로 발견됐던 고 유치준 씨에 대해 사망자로 인정했다. 진상규명위는 고인의 '사망 경위'과 당시 경찰의 '사망 사실 은폐', '부마항쟁과 연관성' 등을 따져 사망자로 의결했다.

    이는 지금까지 진상규명위에 접수된 피해 사실 300여건 가운데 첫 '부마항쟁 사망자'로 공인된 것이다. 유씨의 죽음 이후 꼬박 40년만이다.

    부마민주항쟁 당시 마산수출자유지역 인근 옛 경남모직 공사현장 노동자였던 유씨는 지난 1979년 10월 19일 오전 5시 마산시 산호동에 있는 새한자동차 앞 노상에서 변사체로 발견됐다.

    부마항쟁기념사업회는 이번 결정을 "부마항쟁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념사업회 최갑순 회장은 "유씨의 억울한 죽음과 유족이 감내한 40년의 세월을 보상받기에는 부족하겠지만, 이번 위원회의 결정이 유씨의 억울함과 유족의 한맺힌 응어리를 조금이나마 풀어주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부마민주항쟁은 굴곡진 우리 현대사, 특히 민주주의의 역사에서 올바르게 자리매김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이어질 진상규명과 관련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과정을 통해 진실과 화해로 나아갈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위원회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유족들도 "이제야 고인의 억울함을 풀 수 있게 됐다"고 반겼다.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와 고 유치준 유족들이 6일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경남CBS 이상현 기자)

     

    유씨의 아들 유성국(60)씨는 "지난 40년간 철저히 은폐되어온 아버님의 억울한 죽음이 지금이라도 밝혀진 데 대해 진심 감사의 말씀을 올리며 이제는 우리 모두 화해하고 용서하며 이런 공권력에 의한 비참한 죽음이 다음 세대에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을 빨리 밝혀내지 못해 죄책감으로 가슴이 저려왔지만, 이제라도 40년간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며 눈물을 보이기도 한 유씨는 "국가 공식기관의 사과를 40년간 고통스러웠을 아버님 영혼에 전하고 싶다"며 말을 맺었다.

    유씨의 죽음은 늦게나마 부마민주항쟁 첫 사망자로 인정됐지만, 아직 남은 일은 많다.

    무엇보다 이번을 계기로 더많은 희생자들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에 종료되는 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도 연장돼야 하고, 조사위원의 인원이나 권한도 더 확대되도록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

    현재 이주영(자유한국당)·설훈(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제출한 관련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돼 있지만, 아직 처리되지 않고 있다.

    진상규명위원회 허진수 위원은 "유치준씨 뿐만 아니라, 사망자가 더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래서 더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며 위원회 활동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광주항쟁에 비교해 턱없이 적은 인력과 권한을 지적했다. 그는 "부마항쟁 진상규명위의 조사는 일반직 공무원 2명이 했는데, 광주민주화운동은 조사관 50여명이 참여했다. 부마항쟁은 광주항쟁에 비해 더 밝혀내기 어려운 성격이 있다"고 말했다.

    4·19혁명 등과 함께 4대 민주항쟁인 부마민주항쟁이 40주년을 맞는 올해 국가기념일 지정과 함께, 제대로 된 역사적 재평가와 진상규명, 명예회복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