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제공
우리나라 경제 구조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대신 공산품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1일 공개한 '2019년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19년 총산출액 가운데 서비스 비중은 47.6%, 공산품은 41.6%로 집계됐다.
서비스 비중이 전문·과학, 기술서비스, 공공행정, 보건복지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1년 사이 1.4%포인트 커졌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도 서비스 비중은 2018년 60.2%에서 2019년 61.7%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수요에서는 소비(46.6%→48.1%)와 투자(22.9%→23.0%) 비중이 커진 반면 수출(30.5%→28.9%)은 줄었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4.9%→35.6%)와 공공행정·의료보건 등 정부소비(11.7%→12.5%)의 역할이 함께 커졌다.
연합뉴스
2019년 한국 경제의 총공급액(수요액)은 5097조 5천억 원으로 2018년(5074조2천억원)보다 약 0.5% 늘었다.
총공급(수요) 가운데 수입과 수출을 더한 '대외거래'는 29.3%로, 비중이 2018년(30.2%)보다 줄었다.
반도체 등 수출 물가가 낮아지고 원유·석탄 등 원자재 가격도 떨어진 데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2019년 기준 전업 환산 취업자는 2456만 명으로 1년 사이 0.2%(6만 1천 명) 늘었다. 전업 환산 취업자는 임금금로자(상용직+임시·일용직)와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다.
상용직 근로자가 39만 8천 명 늘었지만, 임시일용직(-28만 3천 명)과 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종사자(-5만 3천 명)는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