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UNIST·이대, 뇌졸중 손상 완화 신종 면역세포 발견



울산

    UNIST·이대, 뇌졸중 손상 완화 신종 면역세포 발견

    뇌에 피 다시 통했을 때 되레 뇌세포 죽는 손상 완화
    신종 미세아교세포 발생 규명…레독스 바이올로지 게재

    단일세포분석으로 발견된 신종미세아교세포와 해당 미세아교세포 활성 유전자 결핍시 발생하는 뇌손상. 연구 그림 UNIST 제공단일세포분석으로 발견된 신종미세아교세포와 해당 미세아교세포 활성 유전자 결핍시 발생하는 뇌손상. 연구 그림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막는 새로운 세포를 발견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박성호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오구택 교수 공동연구팀이 뇌졸중 손상을 막는 신종 미세아교세포를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원래 뇌를 비롯한 중추신경계에만 분포하면서 병원균, 죽은 세포를 먹어치우는 면역 담당 세포로 알려져 있다.

    새롭게 발견된 이 미세아교세포는 뇌졸중 재관류(再灌流) 손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관류 손상은 막힌 혈관을 뚫는 등 혈액의 흐름을 복구해 뇌 조직에 다시 산소를 공급해 줬을 때 뇌세포가 오히려 죽는 현상이다.

    그동안 원인이 불분명 했지만 최근 조직 내로 산소가 갑자기 다시 들어오면서 발생하는 산화 손상이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연구에 따르면 SAM(Stroke-Associated Microglia)이라고 명명된 이 미세아교세포는 항산화 작용으로 뇌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왼쪽부터 박성호 교수와 이원효 박사과정 연구원. UNIST 제공사진 왼쪽부터 박성호 교수와 이원효 박사과정 연구원. UNIST 제공
    이 미세아교세포는 Prdx1이라는 유전자와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Prdx1은 활성산소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인데 이 유전자가 결핍된 경우에는 신종 미세아교세포가 활성화 되지 않았다.

    또 쥐에 뇌동맥에 일시적 혈류 장애를 유발하는 수술을 한 뒤, 뇌 조직 변화를 관찰했을 때 Prdx1이 결핍된 쥐는 그렇지 않은 쥐보다 재관류성 뇌 손상이 더 크게 발생했다.

    박성호 교수는 "뇌졸중 쥐에서 항산화 특이성을 갖는 미세아교세포 군집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며 "뇌졸중 후유증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미세아교세포가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과도 연관이 있다는 사실도 최근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같은 신종 미세아교세포를 단일세포분석 기법을 통해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UNIST 생명과학과 이원효 박사과정 연구원과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시내 박사과정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항산화생물학의 정상급 학술지인 레독스 바이올로지(Redox Biology) 8월호에 공개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