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 울산대학교병원 고수진 교수, 옥민수 교수. 울산대병원 제공울산대학교병원 의료진이 환자 스스로 항암화학요법 부작용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울산대병원은 옥민수(예방의학과) · 고수진(혈액종양내과) 교수팀이 '스마트 암케어 2.0'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수술과 방사선 치료, 재활 등 다양한 치료방식에서 부작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 건강 행태 개선과 복지 서비스 연계 등 포괄적인 건강 관리도 할 수 있다.
암 치료의 모든 측면을 다루는 스마트 암케어 2.0은 환자의 입장에서는 학습과 자기 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
의료 종사자의 입장에서는 환자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울산대병원은 설명했다.
옥민수 교수는 "스마트 암케어 2.0 플랫폼은 암 환자의 퇴원 후 관리 시스템에서 중점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또 "의원과 약국 등 다양한 헬스케어 기관과 협업을 통해 스마트 암케어 2.0의 활용 경험을 축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 논문은 대한암학회지 지난 4월 9일 온라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