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윤창원 기자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초유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정작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 국방위원회 출석을 거부해 비판이 일고 있다.
김 전 장관은 국가수사본부로부터 '내란죄' 혐의로 출국금지 조치를 받은 사실도 드러났다. 계엄령 문건 사건으로 해외도피한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현 방첩사령관)의 전례와 겹쳐진다.
김 전 장관은 지난 4일 "비상계엄과 관련해 국민들께 혼란을 드리고 심려를 끼친 데 대해 국방부 장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이어 "비상계엄과 관련한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대통령께 사의를 표명했다"며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전 장관은 5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는 불출석했다.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경위를 소상히 밝히고 거듭 사과하는 게 책임 있는 자세임에도 불구하고 무시됐다.
물론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일찍 김 전 장관의 사의를 재가했기 때문에 출석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께 엄청난 혼란과 우려를 끼친 고위 공직자로서의 도리가 아니다.
김 전 장관은 지난 9월 인사청문회에서도 "지금 대한민국 상황에서 과연 계엄을 한다면 어떤 국민이 이를 용납하겠나. 저는 안 따를 것 같다"고 해놓고 계엄을 주도해 국민을 철저히 기만한 당사자이기도 하다.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전 장관은 마치 정의로운 사람같이 행동하고, '험난한 정의의 길을 택하겠다' 말만 하더니 '런(Run)종섭 2'가 됐다. 도망갔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윤 대통령은 김 전 장관의 후임으로 최병혁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를 하루 만에 지명한 것에도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린다.
전임 신원식, 이종섭 장관 등이 후임자가 인사청문회 등 임명 절차를 완료할 때까지 적어도 한 달 이상 현직을 유지해온 것과 크게 다르다.
야당을 중심으로 이 같은 전격적인 장관 교체가 김 전 장관의 국회 불출석은 물론 해외도피를 돕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김선호 국방부 차관은 김 전 장관 등을 현행범으로 군 수사기관이 체포‧수사하라는 요청에 "적법 문제에 대해 판단을 하고, 필요하다면 조치를 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