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틴 美 국방부 장관. 연합뉴스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의 인도·태평양 지역 방문에 한국이 빠졌다.
한국의 비상계엄 선포·해제와 연관이 있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미 국방부는 5일(현지시간) "오스틴 장관이 오는 7일 캘리포니아주 행사 참석 뒤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팻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번에 이뤄지는 오스틴 장관의 13번째 인도·태평양 방문은 역내에서 미국의 동맹·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평화, 안보, 번영에 대한 공동의 비전을 진전시키기 위한 역사적 노력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일본 교토통신은 "미 국방장관이 다음주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미일, 한미 국방장관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미 국방부장관의 인도·태평양 방문 일정에는 한국이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에서 벌어진 비상계엄 사태·해제와 카운터 파트너인 김용현 국방부 장관의 사퇴 등으로 현 상황에서 오스틴 장관의 한국 방문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달 4~5일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4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제1차 NCG 도상연습(TTX)도 계엄 사태 여파 속에서 무기한 연기된 바 있다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한미 안보 분야에도 적잖은 균열을 내고 있는 모양새다.
한편 라이더 대변인은 "한국의 계엄 사태와 관련한 주한미군 태세에는 변화가 없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