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가 정회되자 원내대표실로 향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비상계엄 선포가 있었던 지난 3일 여당의 표결을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도 통화했다는 의혹이 불거진데 대해, 여당 원내 지도부 내에서 "통화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해명이 나왔다.
박준태 원내대변인은 6일 오후 국회 본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에 추 원내대표와 윤 대통령이 통화를 했느냐'는 질문에 "그러니까 통화할 수도 있지 않느냐"고 답했다.
앞서 이날 오후 한 언론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 윤 대통령이 추 원내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국민의힘 내에서는 친한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이 한동훈 대표에겐 연락을 하지 않았다며 추 원내대표에게만 따로 계엄 해제 방해를 지시한 것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박 원내대변인은 "(여당 의원들) 다 (윤 대통령과) 통화를 하려고 노력을 했을 것인데"라며 당시 상황상 누구라도 윤 대통령에게 설명을 듣고 싶어했을 것이라는 취지임을 부연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한동훈 대표와는 통화를 안 하지 않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모르겠다"고 답하면서 구체적인 언급을 회피했다. 윤 대통령과 추 원내대표 간 통화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이뤄졌다는 의혹에 제대로 반박하지 못한 셈이다.
국민의힘 원내지도부는 비상계엄 선포가 있었던 지난 3일 자정쯤 부터 약 1시간 동안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 본청과 당사 사이에서 4차례나 변경하면서 의원 대부분이 본회의장에 입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여당 의원 대부분이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에 참석하지 못했는데, 일각에서는 추 원내대표가 표결 참여를 일부러 방해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