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중 사무총장 등과 논의를 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6일 대통령 직무 정지를 요구하면서 당내 친윤석열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해당 행위'라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친윤계 의원들은 이날 한 대표의 발언으로 '탄핵 저지 단일대오'가 급격하게 흔들리자, '탄핵 반대' 당론을 유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당 장악력이 높지 않은 한 대표가 위헌적 계엄 사태 국면에서도 친윤계의 아성(牙城)을 깨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친윤계 역시 윤 대통령이 임기를 채우는 게 불가능하다는 걸 인지하고 있지만, 차기 권력 구도를 염두에 두고 한 대표와 다른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단 '통일된 당론'을 강조하고 있는 모습이다.
양측이 강하게 맞붙은 가운데 반나절 넘게 의총을 이어갔지만 뾰족한 결론 없이 7일 오전 다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탄핵 시사한 韓에 친윤계 집단 반발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전 8시 40분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하고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 조속한 직무 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 전날까지만 해도 "탄핵소추를 막겠다"고 했던 것과는 정반대 입장이다.
한 대표는 직무집행 정지 근거로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을 반국가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를 지시했던 사실, 정보기관을 동원했던 사실을 확인했다"고 했다.
"여 사령관이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의 모 장소에 수감하려고 했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던 것도 파악됐다"고 강조했다.
입법부 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 시도 정황을 담은 증언이 터져나온 것도 한 대표가 판단을 뒤집은 계기 중 하나로 보인다.
한 대표는 오전 긴급 최고위 직후 윤 대통령의 요청으로 용산 대통령실에서 면담을 가졌다. 하지만 한 대표는 면담 직후 의총장에서 "대통령으로부터 이 판단(직무집행 정지 요구)을 뒤집을 만한 말을 못 들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이날 최고위 직후 추경호 원내대표가 주재한 중진 긴급 회의에 참석한 친윤 중진의원들은 "당론을 뒤집는 해당행위:라며 한 대표에 책임을 묻겠다는 목소리도 냈다고 한다.
나경원 의원은 중진회의가 끝난 뒤 취재진에게 "당론으로 탄핵 반대는 정해져 있다"고 했고, 윤상현 의원도 "이대로 내일 당장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에서 민주당에게 정권을 헌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엄태영 의원은 "어디서 들었는지도 모르는 제보를 듣고와서 대통령의 직무 정지를 이야기 하는 것이 적절하냐"며 "한 대표에 전말을 듣고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며 발끈하기도 했다.
황진환 기자차기 주자 한동훈? 與, 탄핵 전부터 사분오열
국민의힘이 단일대오를 유지하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탄핵 표결을 하루 앞두고서도 온갖 의견이 나온 데에는 차기 권력을 염두에 두고 각자 다른 셈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날 오전부터 의총을 열고 '탄핵 반대' 당론을 유지할지 여부를 논의했지만 매듭 짓지 못한 것도 그래서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시점과는 별개로 다음 대선에서 민주당으로의 정권 교체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다. 한 대표 입장에서는 '윤석열의 황태자'라는 과거가 있는 만큼 정치 생명을 연장하려면 윤 대통령과의 절연이 시급하다. 초유의 위법한 계엄에 대해서는 원칙을 지키는 면모도 보여줘야 차차기 대선을 노려 볼 수 있다.
반면 친윤계·비한계는 한 대표와 셈법이 다를 수밖에 없다. 설령 한 대표와 뜻을 같이 하더라도 당장 첫 탄핵 표결에서부터 '이재명의 민주당'에 동참하기에는 정치적 리스크가 따른다.
친윤계 지역구가 모여있는 TK(대구·경북)에서는 탄핵에 대한 여론이 다른 지역과는 다른 양상이고, '배신자 프레임'이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탄핵 여론이 무르익지 않은 상태다.
당내 친윤계 의원들의 반발에 이어 여당 소속 시도지사협의회도 비상 거국 내각을 구성하되 탄핵에는 반대하는 이유 역시 같은 맥락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 등 차기 권력을 노리는 입장에서는 한 대표에 대한 견제를 할 수밖에 없다.
신동욱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의총을 마친 뒤 "당론 변경에 대한 얘기는 없었다"며 "(표결 방식에 대해서는) 내일 더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