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 충격에 3일 코스피는 하락 출발했다. 이날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미국 방송의 한국 경제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본격화하자 3일 코스피가 2.5% 넘게 급락해 2450대로 밀려났다. 아시아 증시도 대부분 약세였고, 원/달러 환율은 크게 올랐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63.42포인트(2.52%) 내린 2453.95로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93% 내린 2468.74로 출발해 하락 폭을 빠르게 키워 장중 3.17% 밀려난 2437.61을 기록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 중국 제품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8722억원, 기관이 3730억원을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삼성전자(-2.67%), SK하이닉스(-4.17%) 등 반도체주는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에 지난 주 하락한 뒤 이날도 약세를 이어갔다.
멕시코에 공장이 있는 LG전자는 장중 한때 7.84% 내린 7만7600원까지 급락하며 신저가를 기록했다가 7만8200원(-7.13%)에 마감했다. 기아도 5.78% 하락했다.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2차전지와 자동차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업종 중심으로 급락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4.49포인트(3.36%) 내린 703.80으로 거래를 마쳤다.
KB증권 김지원 연구원은 마감코멘트를 통해 "미 관세 강행에 따른 무역분쟁 본격화 우려에 3% 내외 급락했다"며 "매물 출회가 심화돼 오후 들어 낙폭이 확대됐고, 강달러 충격도 하락 요인이었다. 외국인 자금 이탈도 심화했다"고 말했다.
일본 니케이 -2.66%, 대만 가권 -3.53% 등 아시아 증시 전반이 휘청였다. 상해종합 -0.06%, 항셍 -0.51% 등 대부분 약세였다.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70원대까지 뛰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주간 거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14.5원 오른 1467.2원을 기록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지난달 13일 이후 3주 만에 가장 높았다. 역시 글로벌 무역 전쟁 우려가 커지면서 달러 강세가 이어진 효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