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靑 인사실패 후폭풍…與 '연대 책임론'까지



국회/정당

    靑 인사실패 후폭풍…與 '연대 책임론'까지

    "각자 헌법기관임에도 제 역할 못해…침묵깨고 목소리 내야"

    1

     

    청와대의 인사실패에도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새누리당 지도부에 대한 비판에 이어 당청 관계 재정립을 위한 의원들 개개인의 '연대 책임론'까지 나오고 있다.

    엄연한 헌법기관이면서도 현안을 언급하기 꺼리고 청와대의 눈치만 본 여당 의원들 모두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25일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인선한 장·차관 가운데 6번째 인사가 낙마했다. 인수위 시절 김용준 총리 후보자와 박 당선인도 인사에 관여했던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 등까지 계산에 넣으면 12번째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은 인사 실패에 침묵한 당 지도부 책임론으로 내홍을 겪은 지 오래다. 당 지도부가 앞장서서 여당 의원들의 중지를 모아 청와대에 전달해야 했음에도 소극적으로 대처해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정부조직 개편안 표류에 이어 인사파행까지 겹치고 있는 마당에 '상명하복식 당청관계', '식물·투명정당'이라는 비아냥까지 나오는 지경에 이른 데 대해 당 지도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현재 당청관계가 있는지조차 의문이고, 있더라도 일방적"이라며 "이렇게 경직됐던 적이 없다. (당정이) 주기적으로 만나는지, 청와대 정무수석실과 원내대표실이 대화를 충분히 하고 있는 지 아무도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당 지도부 책임론은 오는 5월로 예정된 차기 원내지도부 경선에서 "청와대에 바른 말을 할 수 있는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강한 리더십론으로 귀결되는 모양새다.

    하지만 자칫 당청관계 재정립이라는 당면 과제가 경선 과정에서 표를 모으기 위한 구호에만 그쳐 유야무야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때문에 최근 당 안팎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당청관계 변화를 위해서는 당 지도부 책임론을 넘어 침묵과 눈치보기로 일관해온 의원들의 태도부터 바꿔야 한다는 연대책임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래 새누리당 의원들은 정부 활동과 관련해 개인적 의사를 표출하는 것을 극도로 꺼려왔다. 일부 의원들 외에는 본인 명의의 언론 인터뷰조차 삼가는 모습이었다.

    재선 의원인 조해진 의원은 "당 지도부도 제 역할을 못했지만, 당직자나 일반 의원들도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의회의 기본은 토론이고, 의원들은 개별 헌법기관이다. 사안마다 의견을 내고 회의나 의총, 언론을 통해 목소리를 내야 청와대에 여당의 목소리가 전달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현안에 대해 침묵을 깨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그는 이어 "초선이나 비례대표 의원이라도 필요하다면 대통령이나 청와대에 직접 전화를 걸어 의사를 전달하고 대안까지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야당의 공세에 휘둘리지 않고 국정 주도권을 잡아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BestNocut_R]

    당의 한 핵심 중진 의원도 최근 사석에서 "젊은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의견을 내야 하는데 다들 전투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눈치만 보면서 할 말도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문가들도 여당 내에서의 쇄신을 향한 목소리와 움직임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당내 소장파든 젊은 의원이든 목소리를 내줘야 지도부가 받아들여 청와대에 전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바닥에서부터 이야기가 올라와줘야 해법이든, 불만이든 청와대에 힘있게 관철이 되는 것이지 당 대표가 매번 의총을 열고 표결해서 의견을 전달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의원들이) 선제적으로 행동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