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표준연 개발 '뇌자도 측정장치' 국제 기술이전 성공



대전

    표준연 개발 '뇌자도 측정장치' 국제 기술이전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체신호센터 이용호 박사팀이 개발한 뇌자도 장치로 측정한 신경전류원 분석 결과.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생체신호센터 이용호 박사팀이 개발한 '뇌자도 측정장치' 제작기술을 호주 컴퓨메딕스사(Compumedics Limited)에 성공적으로 기술이전 했다고 4일 밝혔다.

    기술이전에 따른 기본기술료는 12억 원이며, 기술 실시기간(2016년~2036년) 동안 3.5%의 경상기술료를 받게 된다. 총 기술료 수입은 3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뇌자도 장치는 뇌신경회로의 미세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신호를 측정하는 장비로, 뇌기능 연구 및 기능성 뇌질환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뇌자도 장치를 이용한 검사기술은 인체에 해가 전혀 없고, 뇌신경회로의 미세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뇌활동 측정이 가능해 그동안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던 뇌전증(간질), 파킨슨병, 자폐증, 치매 등 신경계질환의 진단이 가능하다.

    또 뇌 전기활동을 초당 1천 장까지 영상화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신경전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비접촉·비침습적 진단 기술로 뇌 활동부위에 대한 3차원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연구진은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지구자기장의 10억 분의 1이하로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기 위해 '스퀴드'(SQUID)라는 특수한 자기센서 및 정밀측정 기술을 사용했다.

    이번에 기술 이전한 뇌자도 장치는 150개의 스퀴드 센서로 이루어진 150채널 뇌자도 측정 장치로, 뇌 전체의 전기 활동 정보를 1회 측정만으로 알 수 있다. 출력신호도 기존 장치에 비해 10배 이상 크다.

    센서의 감도가 뛰어나고 외부 자기잡음을 제거해 신호품질을 향상시켰으며, 센서장치와 회로장치, 냉각장치, 자기차폐장치 등을 단순화해 경제성을 높였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

    이번에 기술이전을 체결한 호주 컴퓨메딕스는 뇌파진단 장비와 뇌기능 분석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향후 뇌자도 장비의 의료기기 승인 및 글로벌 사업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뇌자도 장비의 핵심 부품인 스퀴드 센서장치, 자기차폐실 등은 국내에서 제조해 공급할 예정이어서 관련 국내 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KRISS 이용호 박사는 "뇌자도 장치는 지난 1994년부터 20여 년 간 꾸준한 연구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며 "이번 기술이전은 정부출연기관이 기본임무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경우 고부가가치의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