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비리 표적 된 광주사학들, 교육청 대책 마련 '골머리'



광주

    비리 표적 된 광주사학들, 교육청 대책 마련 '골머리'

    장휘국 교육감, 21일 특별기자회견 통해 대책 발표

     

    광주시내 사학재단들이 최근 잇따른 비리혐의로 사정기관의 표적이 되면서 광주시교육청이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산하 31개 학교법인 가운데 각종 비리혐의로 올 들어서만 회계비리와 관련해 숭의학원과 죽호학원 등 4개 학교법인을 검찰과 경찰에 수사의뢰해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거나 기소되어 재판이 진행 중에 있다.

    또 교직원 채용비리와 관련해 수사를 받고 있거나 내사 또는 시교육청에 제보된 학교법인도 낭암학원을 비롯해 도연학원, 고려학원, 송암학원 등 6∼7개 사학에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 채용을 대가로 많게는 1인당 1억 5000만 원까지 주고받은 동아여중고 학교법인 이사장과 교직원, 가족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적발된 사건은 충격적이었다.

    이들은 지난 2012년 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법인 산하 중고 교사와 직원 9명의 채용을 대가로 9명으로부터 6억 3000만 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시교육청은 법인에 돈을 주고 교사로 채용된 이들에 대해서도 중징계 요구를 하기로 하면서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동아여중고 이사장과 측근들의 채용비리 사건은 지난 1989년부터 1990년대 초 사이 광주지역 사학들의 대규모 기부금 파동 이후 만 26년 만에 처음으로 사학의 민낯을 드러낸 사건으로 사학들이 사면초가에 직면해있다.

    시교육청은 이번에 검찰수사로 드러난 동아여중고 채용비리 사건 말고도 또 다른 브로커 3명이 특정 사학을 팔아 교사로 채용시켜주겠다고 속여 3명으로부터 2억 5500만 원을 가로챈 혐의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즉 조만간 제2, 제3의 교사 채용비리 사건은 물론이고 학교법인이 연계됐는지가 드러날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시교육청은 그동안 교사 채용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채용권 위탁을 요구하며 인센티브제 도입 등을 통해 사학들을 꾸준하게 설득해왔지만 인사권은 사학의 고유권한이라며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왔으나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지난해의 경우 광주시내 31개 사학재단 가운데 사립학교 신규교사 채용을 위탁한 법인은 조선대 법인과 송암학원, 금정학원, 보문학숙 등 주로 관선이사가 파견된 4개 학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지난해 사립학교에서 신규 채용한 교사 107명 가운데 15명을 시교육청에 위탁해 위탁율은 14%에 그치고 있다.

    한편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21일 오전 10시 시교육청 브리핑 룸에서 특별기자회견을 통해 사학채용비리 근절 대책을 밝힐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