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5·18 헬기 사격 탄흔 확인… 軍 민간인 무차별 사격 입증



광주

    5·18 헬기 사격 탄흔 확인… 軍 민간인 무차별 사격 입증

    5월 단체, 탄흔 현장 원형 보존 및 전일빌딩 사적지 지정 노력

    80년 5.18 당시 군 헬기가 전일빌딩 주변을 비행하고 있다.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 결과 광주 금남로 전일빌딩에서 5·18 당시 헬기에서 쏜 총탄 흔적이 무더기로 확인된 것과 관련해 5월 단체는 군이 민간인을 상대로 무차별 공격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5·18기념재단과 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5월 4단체는 13일 국과수의 전일빌딩 탄흔 감정 결과에 관한 보도자료를 통해 국과수의 법안 감정서는 당시 군이 헬기에서 민간인 사격 등 5·18 진실을 밝히는 매우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5월 단체는 특히 국과수의 감정 결과는 5·18 당시 헬기에서 민간인 거주지역 사격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지난 37년 동안 정부와 군 당국의 자위권 발동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났다며 군이 민간인을 상대로 무차별 공격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5월 단체는 광주광역시와 협력해 총탄 자국이 무더기로 발견된 현장을 원형 보존하고, 전일빌딩은 사적지로 지정되도록 힘쓰기로 했다.

    5월 단체는 이와 함께 옛 전남 도청 보존공간의 원형 복원에 침묵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아시아문화전당을 규탄하며 총탄 흔적 복원과 보존 건물에 대한 시민사회 단체의 원형 보존 요구를 즉각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5월 단체는 발포자 미규명 등 아직도 미흡한 진실규명과 관련해 올해부터 자체적으로 수집한 기록물을 토대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새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5·18의 실체적 진실 규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과수는 전일빌딩 총탄 흔적에 관한 최종 감정 결과 전일빌딩 외벽에서 35발, 꼭대기 층인 10층 천정과 바닥 등지에서 150발 등 모두 185발의 탄흔이 식별됐고 발사 위치는 정지 상태의 헬기가 고도만 상하로 변화하며 사격한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특히, 국과수는 10층 천정에 나타나는 탄흔의 생성 방향은 한 지점에서 좌·우 방사형으로 펼쳐진 일정한 형태여서 기관총의 사격에서 나타날 수 있어 UH-1 헬기의 양쪽 문에 거치된 M60 기관총의 발사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전일빌딩 총탄 흔적이 헬기에서 사격으로 유력하게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만큼 원형 복원의 원칙을 갖고 5·18 유적으로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리모델링을 중단하고 5·18 단체· 전문가와 협의해 오는 7월까지 총탄 흔적 보존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일빌딩 건물은 현재 기울기가 안전등급 위험인 D등급을 받아 정밀안전진단 이후로 리모델링 사업이 보류된 가운데 탄흔 보존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 리모델링 계획도 궤도 수정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시는 애초 전일빌딩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핵심지원시설로 조성하기 위해 국비 130억 원, 시비 290억 원 등 420억 원을 들여 리모델링을 통해 복합문화센터를 만들 예정이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