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포커스뉴스, 편집권 침해·기자 징계에 이어 돌연 '폐업'



미디어

    포커스뉴스, 편집권 침해·기자 징계에 이어 돌연 '폐업'

    노조 설립 선언 일주일도 안돼 폐업 통보

    민영통신사 포커스뉴스가 폐업을 결정하고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증을 반납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포커스뉴스 홈페이지)

     

    '문재인 대통령 100人' 제하의 기사 101건을 '가짜뉴스'로 규정해 일괄 삭제하는 등 편집권 침해 논란이 일었던 포커스뉴스가 갑작스레 폐업했다.

    포커스뉴스는 31일 오전, 사내 게시판에 글을 올려 지속적인 적자로 인해 급여 지급조차 어려워지게 되었다며 사업자등록증을 국세청에 반납했다고 밝혔다.

    회사 설명에 따르면 포커스뉴스는 2015년 민영통신사로 문을 연 이래 2017년 4월 말 기준 총 8억 6043만 389원의 적자를 기록해 누적적자만 113억 1032만 7472원(자본잠식 33억 6290만 2062원)에 이르게 됐다.

    포커스뉴스는 "장기적인 적자상태에서 당장 다음달부터는 임직원 여러분의 급여조차 지불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더 이상의 영업행위는 지속적으로 어렵다는 판단 하에 폐업 신청을 하고 사업자등록증을 국세청에 반납했다"고 설명했다.

    포커스뉴스는 31일자로 폐업함에 따라 임직원들에게 해고 절차를 진행할 예정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할 경우 급여 3개월분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포커스뉴스는 만성 적자를 폐업의 이유로 들었지만 내부에서는 회사의 설명을 '액면 그대로' 믿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편집권 침해 논란과 그 후 이어진 기자 징계 등으로 언론노조 산하 노조를 만든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아 일어난 일이기 때문이다.

    앞서 포커스뉴스 구성원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사측의 기사 삭제 지시에 항의했고, 이후 언론노조에 가입해 포커스뉴스분회를 꾸렸다. 지난 25일에는 서초동 사옥 앞에서 노조 설립 선포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관련기사 CBS노컷뉴스 17. 5. 25. '편집권 침해 논란' 포커스뉴스, 노조 만들었다)

    언론노조 포커스뉴스분회 관계자는 31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노조 전 단계인 비대위 때부터 '성명을 한 번더 내면, 혹은 노조를 만들면 폐업할 수도 있다' 이런 말을 간부들에게 공공연히 들어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재는 폐업하게 된 진위를 파악하는 상황"이라면서도 "사측은 지난달부터 흑자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를 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노조를 만들면 이 회사는 페업해버릴지도 모른다거나 단체협약도 페업하면 도루묵 아니냐는 말들로 조합원들을 압박해 왔기 때문에, 회사 공지에 나오는 내용처럼 폐업할 정도로 경영상의 어려움이 있다고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포커스뉴스분회는 조합원뿐 아니라 비조합원들의 의견을 구하고 있으며, 폐업과 관련한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는 중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