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조시영 기자
5·18 민주화 운동 38주년 기념식이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진행된다.
이날 기념식은 초대장 없어도 신분 확인 후 입장이 가능한 열린 기념식으로 개최된다. 아울러 5·18 진상규명 과제 중에서도 행방불명된 사람들 문제가 구체적인 사연과 함께 제기될 예정이다.
5·18 38주년 기념식이 열릴 예정인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
행사 관계자들은 무대 세트 점검 등 막바지 기념식 준비에 여념이 없다.
이른 아침에도 불구하고 유가족들과 추모객들의 발길도 하나 둘 이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두 번째를 맞이한 38주년 기념식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시작된다.
사진=조시영 기자
기념식은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야 지도부, 5·18 유족과 시민 등 5천여명이 참석해 헌화 분향과 경과보고 기념사 순으로 열린다.
기념식은 초대장 없어도 신분 확인 후 입장이 가능하다.{RELNEWS:right}
기념공연으로 5·18 당시 행방불명된 8살 배기 아들을 38년 동안 찾아다니는 이귀복씨의 사연이 소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5·18 진상규명 과제 가운데 하나인 행방불명자를 찾는 암매장 발굴 작업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을 계획이다.
이번 기념식에는 5·18을 해외에 널리 알린 외국인들도 대거 참석해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17일 '보아라 오월의 진실, 불어라 평화의 바람'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야제에는 1만여명의 시민들이 모여 뜨거운 추모 열기를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