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 대통령, '포스트 북미' 내닫는다…종전선언 본궤도



대통령실

    문 대통령, '포스트 북미' 내닫는다…종전선언 본궤도

    북미 넘어 다음 단계 넘어가는 단초 마련에 주력할 듯
    중재자 넘어 한반도 운명 주도자 역할 본격 시동
    에어포스원에서 한미정상 통화 "북미 합의 신속 이행이 중요"
    폼페이오 국무장관 오늘 방한…내일 문 대통령 예방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의 첫 발인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종료됨에 따라 종전선언을 거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담대한 여정에 돌입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13일 방한(訪韓)해 다음날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을 예방하고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상세하게 공유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12일 싱가포르 현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끝나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이번 북미간 합의를 바탕으로 우리는 새로운 길을 갈 것"이라며 "전쟁을 뒤로하고 평화와 협의의 새 역사를 써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가 정착되고 공존과 번영의 새 시대가 열릴 수 있도록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혼신의 힘을 다 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북미정상회담을 넘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남북관계의 담대한 발전 등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는데 주력하겠다는 뜻을 강하게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당장 예측가능한 시나리오는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 이행 속도에 동력을 불어넣어 줄 '종전선언'이다.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남북미 정상회담을 열고 종전선언을 이끌어내 북한의 비핵화 이행 초기단계에서 체제안전 보장 장치를 만들냄으로서, 자연스레 한반도 평화체제 구현으로 넘어간다는 게 문 대통령의 오래된 대북정책인 동시에 한반도 운전자론, 중재외교의 목표이기도 하다.

    '포스트 북미정상회담'이라는 굵은 선을 미리 그어놓고 중재자를 넘어 한반도 운명의 주도자로서의 역할에도 본격 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북미정상회담 종료 후 "센토사 합의는 지구상 마지막 남은 냉전을 해체하는 세계사적 사건"이라며 "앞으로 숱한 어려움이 있겠지만 다시는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한 것에서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담대한 여정에 본격적으로 임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묻어난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기자회견에서 "종전선언이 실제로 이뤄질 수 있다"며 북한에 대한 체제안전 보장책인 종전선언을 평화협정 체결 전에 도출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실제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종료 직후 전화통화를 갖고 싱가포르 회담에서 이룬 북미간 합의 내용을 완전하고 신속하게 이행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문 대통령의 구상은 13일 오후 방한해 다음날 청와대를 방문하는 폼페이오 국무장관과의 접견에서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근접 보좌했던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부장관을 잇달아 만나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4·27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한 북미정상회담 합의문 3항을 강조하면서 향후 한미 공조 방향을 가다듬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추가 접촉에 나설지도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 합의문에 4·27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한다는 내용이 적시됐고, 지난달 말 2차 남북정상회담까지 열면서 북미정상회담 성사에 매진한 만큼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핫라인 통화를 할 가능성도 높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하루종일 아무런 일정도 잡지 않은 채 청와대에 집무실에서 정의용 안보실장 등 참모진과 함께 북미정상회담 후속 조치를 위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전해졌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