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유럽 노동시간 35시간…우린 고작 52시간 갖고"



방송

    "유럽 노동시간 35시간…우린 고작 52시간 갖고"

    '외부자들' 최강욱 "기업들 '주5일제' 시행 때랑 똑같은 우려"
    진중권 "노동력 쥐어짜서 생산성 향상시키던 시대는 지났다"

    (사진='외부자들' 방송 화면 갈무리)

     

    다음달 1일부터 노동시간이 주당 52시간으로 줄지만, 정부가 올 연말까지 단속·처벌을 6개월 유예하면서 사실상 시행이 6개월 뒤로 미뤄진 데 대해 진중권 교수와 최강욱 변호사가 비판을 가했다.

    지난 26일 밤 방송된 채널A 시사 예능 프로그램 '외부자들'에서 최 변호사는 "그간에 (노동시간 단축 시행에 대한) 치밀한 정책 수립과 면밀한 검토에 소홀했다는 점은 정부가 어느 정도 인정해야 될 것 같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 6개월 유예하는 동안 얼마나 이것을 만회하고 제대로 정비할 수 있을 것인지 저희가 눈 부릅뜨고 감시해야 할 일은 맞는 것 같다. 한편으로 서글펐던 것이 (주당) 40시간도 아니고 32시간도 아니고, 52시간 줄이는 것 가지고 우리 사회가 (불안해 한다).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같은 경우는 지금 35시간(을 도입했다), 이것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일 중독 사회인 것은 맞다."

    그는 "이것은 과거 '잘 살아보세' 기간에 주입됐던, '우리가 열심히 땀 흘려 일하는 것이 나라를 잘 살게 하는 길'이라는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라며 "이것이 남이나 북이나 새마을운동, 천리마운동을 통해 새벽부터 일어나서 '새벽 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라며 밤 늦게까지 일하며 잘 살아보세(했던 것의 영향)"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진중권 교수는 "노동력의 단순 투입이 곧바로 산출량으로 나오던 시대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최 변호사는 "그러니까 그 시대가 지나고 시대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며 "정부가 선도해서 많이 알리고 준비하는 홍보도 필요하겠지만, 시민들의 인식도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 같은 안타까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 한편으로 경총 등 경영자 측에서(반성해야 할 부분이 있다). 현재 사실은 (노동 시간 단축이) 7월 1일부터 전 사업장, 모든 업종에 다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300명 이상 사업장·공공기관에서만 시행). 그 사정 다 감안해서 단계적으로 하겠다는 것"이라며 말을 이었다.

    "그런데 또 지금 나오는 애기들 보면, 과거에 주 5일제 근무 시행할 때랑 똑같은 이야기를 한다"며 "'이렇게 하면 나라 망한다' '근로시간이 줄면 경쟁력이 떨어진다' '시간당 임금으로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사람들은 어쩌란 말이냐', 이런 이야기가 나왔는데, 사실은 주 5일제 근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얻은 것도 많이 있다. 여가에 대한 소중함도 많이 알게 됐다."

    최 변호사는 "이제는 (기업들이) 엄살을 갖고 국민들을 몰아가면서 선동하지 말고, 정부가 제대로 준비해야 되는 만큼 경영자들도 사회적인 변화를 감지하고 인식하고 준비해 왔는가를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항상 근로자들 잡아놓고 쥐어짜서 돈 버는 시대는 지났다는 것을 인정하고, 똑같이 경제계에서도 대비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중권 교수 역시 "그 (노동시간 단축의) 필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며 "일단 OECD에서 계속 권고하는 것이 노동 생산성 높이라는 이야기잖나. 이게 뭐냐면 분모가 너무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쓸데없이 직장에 잡아놓고 일을 시킨다. 그런다고 생산성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잖나. 그것을 없애자는 것이다. 일단 일자리를 창출해서 나눠줘야 될 것을, 그동안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일을 더 시킨 것이다. 비정상적인 것이다. (노동시간 단축은) 일자리를 나누는 측면이 있다."

    진 교수는 "또 한편으로는 기업에서 (신규채용 등에 대한) 부담을 지잖나. 그 부담은 굉장히 생산적인 부담"이라며 논평을 이어갔다.

    "쉽게 말하면 더이상 사람들 노동력 쥐어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한계 조건을 뒀기 때문에 '이제는 너희(기업)들이 망하지 않으려면 혁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 혁신이든 경영 혁신이든 간에 그쪽으로 정부에서 정책으로 압박하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

    그는 "사실 우리 사회가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개인의 삶 사이 균형을 중요한 조건으로 여기는 태도)이잖나. 살기 위해 일하는 것이지 일하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는 말"이라며 "독일 같은 경우 (오후) 6, 7시 지나면 장을 못 보잖나. 거기 일하는 사람들도 가족이 있기 때문에, 가정생활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보호해 줘야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