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삼성전자 등 28개사 동반성장지수 최우수…LG전자 등 16곳 하락



기업/산업

    삼성전자 등 28개사 동반성장지수 최우수…LG전자 등 16곳 하락

    서초동 삼성그룹 사옥 (사진=자료사진)

     

    삼성전자 등 28개사가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노력을 평가하는 동반성장지수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하도급법을 위반한 LG전자와 대림산업 등 16곳의 등급은 하락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27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제51차 본회의를 열고 181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7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 결과 공표대상 181개 기업 중 '최우수' 등급은 28개사, '우수'는 62개사, '양호' 61개사, '보통' 15개사, '미흡' 15개사로 나타났다.

    최우수 등급 기업은 기아자동차, 네이버, 삼성전자, 유한킴벌리, 코웨이, 포스코, 현대자동차, CJ제일제당, KCC, KT, LG디스플레이, LG생활건강, LG화학, SK건설, SK텔레콤 등이다.

    3년 이상 최우수 등급을 받은 '2018년 최우수 명예기업'은 삼성전자(7년), SK종합화학·SK텔레콤(6년), 기아자동차·현대자동차(5년), 현대다이모스·KT·LG디스플레이·LG생활건강·SK주식회사(이상 4년) 등 총 14개사였다.

    우수 등급은 삼성중공업, 오뚜기, 이마트, 카카오, 한화건설, 현대제철, SPC삼립 등으로 집계됐다.

    금호산업·롯데제과·한샘·한진중공업 등이 양호 등급, 대림산업·롯데면세점·서울반도체 등이 보통등급을 받았다.

    가장 낮은 미흡 등급은 덕양산업, 도레이첨단소재, 동우화인켐, 셋방전지, 에코플라스틱, 오비맥주,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쿠쿠전자, 타타대우상용차, 파트론, 평화정공, 한국암웨이, 한솔섬유, 화승알앤에이, S&T모티브 등으로 나타났다.

    한솔섬유 등 이들 15개사는 공정위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에 참여하지 않아 최하위 등급인 미흡을 받았다.

    2017년도 동반성장지수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 협약이행평가와 동반성장위의 중소기업 체감도 조사 결과를 각각 50대 50 비율로 합산해 산정했다.

    업종별로 보면 정보.통신업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고 식품업종은 개선노력이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보.통신 업종 평가대상 기업 8개사 가운데 삼성 SDS, KT, LG유플러스, LG CNS, SK주식회사, SK텔레콤 등 6개사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2016년도에는 평가대상 8개사 중 5개사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었다.

    2016년과 2017년 공통으로 평가에 참여한 대기업 154개사 중 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풀무원식품, 두산중공업, GS건설 등 32개사로 나타났다.

    두산중공업과 만도는 양호에서 최우수, GS건설은 보통에서 우수, 코스트코코리아·한국프랜지공업·화신은 미흡에서 양호로 각각 두 계단씩 올랐다.

    하도급법을 위반해 과징금 처분을 받은 LG전자와 대림산업 등 16개 회사의 등급이 낮아졌다. LG전자는 양호, 대림산업은 보통에 그쳤다.

    최우수 또는 우수 등급인 기업에 대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직권조사 면제, 조달청 공고입찰 참가자격사전심사 가점 부여 등 인센티브를 준다.

    2017년 중소기업 동반성장지수 체감도조사의 평균점수는 80.5점으로, 전년(80.3점) 대비 0.2점 상승했다.

    홈쇼핑업 3.0점(80.5→83.5점), 가맹점업 2.9점(74.3→77.2점), 식품업 2.2점(79.8→82.0점) 상승 및 광고·플랫폼 업종의 평균 대비 높은 체감도(86.4점)가 반영된 결과라고 동반위는 분석했다.

    2차 협력사 체감도는 65.9점으로 전년에 비해 0.2점 높아졌지만, 여전히 1차 협력사 체감도(76.8점) 대비 저조했다.

    권기홍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은 "미흡 등 낮은 등급을 받은 기업들에 대해 페널티 등도 고려하고 있으나 그럴 경우 참여 유인이 떨어질 수 있어 더 논의해야 한다"며 "미흡 기업을 방문해 컨설팅하고 공정위 협약에 참여하라고 독려하는 등 동반성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반성장지수는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대기업의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해 계량화한 지표다.

    평가대상 기업은 국내 매출액 상위 기업 중 사회적 관심이 많고 평가에 따른 파급효과가 큰 기업으로, 매년 확대 선정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