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구 100만 붕괴 위기감" 창원시 '적극적 인구정책'으로 돌아선다



경남

    "인구 100만 붕괴 위기감" 창원시 '적극적 인구정책'으로 돌아선다

    생애주기별 17대 핵심 프로젝트, 36개 실천 사업 추진...예산 1307억 투입

    서정두 창원시 기획예산실장이 창원형 인구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창원시 제공)

     


    3개 도시의 통합으로 110만명에 육박하던 경남 창원시 인구가 점점 줄기 시작해 인구 100만 유지도 걱정해야 할 형편이다.

    이 때문에 시는 저출산 고령화와 인근 도시로의 인구유출에 적극 대응하는 내용의 인구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서정두 창원시 기획예산실장은 24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형 인구정책' 추진에 4년간 1307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서 실장은 "지난 3월부터 9월까지 창원시정연구원에서 시행한 인구정책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한 창원형 인구정책 기본 방향에 세웠다"며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매년 평균 5000명의 인구감소 추세가 이어져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창원시 인구는 105만4천800명까지 떨어졌고,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 인구 문제를 정부의 손에만 맡길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창원형 인구정책 발표를 하게 됐다"며 "현재 창원시는 소멸 위기 대상 지역은 아니지만 저출산과 고령화, 타 도시로 인구 유출이 지속된다면 100만 인구의 유지도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됐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창원시의 합계 출산율은 2017년 기준 1.14명으로 출생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는 11.8%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자리, 주거, 교육 문제로 매년 1만명 정도의 순유출이 발생되고 있다.

    또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6년간 전체 유출인구의 24.3%가 김해시로 유출됐고, 서울 16.2%, 경기 9%, 부산 8%, 함안 6.2%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요인의 1위가 35.9%로 직업 문제로 나타났으며 가족 요인 23.2%, 주택 요인 22.8% 순으로 분석됐다.

    특히, 창원의 미래라 할 수 있는 20·30대 청년층의 유출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령별 특성을 보면 20~24세가 전체 유출 인구의 18.2%를 차지하는 등 20~39세 연령층이 전체의 43.5%로 분석돼 최근 창원의 경기 침체를 반영하는 듯하다.

    서 실장은 "이같은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17대 핵심 프로젝트, 36개 실천 사업을 제시해 '창원형 인구정책'의 큰 틀을 마련했다"며 "4년간 36개 실천 사업에 1307억원을 투입해 인구 유출에 따른 근본적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창원형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사진=창원시 제공)

     


    구체적으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인구정책을 마련해 대응에 들어간다.

    영유아의 경우, 찾아가는 출산 전후 의료케어 ‘창원 i-맘 건강지킴이’와 셋째 아이 태아보험 가입, 아동청소년은 컨셉이 있는 어린이 놀이터 ‘창원형 i 어린이 공원’ 조성, 청년은 도심형 창업콤플렉스 조성·운영, 창원 부메랑 취업 지원 등이 추진되는 생애주기별에 해당되는 사업들이 추진된다.

    또, 생애주기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지원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시는 임신·출산·보육 정보 제공 통합 플랫폼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맞춤형 서비스 제공, 부산 도시철도 하단 ~ 녹산선 용원지역 연장을 구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자리와 주거 등에 중점을 두고 인구유출을 막는 정책이 추진된다. 일자리와 관련해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봉암공단과 자유무역지역 스마트 산단 조성, 첨단방위산업과 항공부품 산업 집중 육성, 중소기업 맞춤형 첨단산업 인력양성 센터 운영 등 8가지 세부사업이 진행된다.

    주거와 관련해선 다자녀가정을 위한 주택특별 공급, 창원형 빈집관리 ‘창원빈집4U’, 창원이주 청년대상 맞춤형 주택공급, 무주택 신혼부부 전월세 보증금 대출 이자 지원 등이 추진된다.

    또, 저출산과 관련해서는 찾아가는 출산전후의료케어 ‘창원 i-맘 건강지킴이 운영’, 주민센터 내 공공키즈카페 ‘우리동네 키즈카페’조성, 창원형공공베이비시터 운영 등이 포함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