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농업분야 폭염피해 예방…정보제공·예방시설 지원



경제 일반

    농업분야 폭염피해 예방…정보제공·예방시설 지원

    농식품부, 농업인 및 축산·원예분야 피해예방에 총력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올 여름 농업인과 축산·원예분야의 폭염피해 예방을 위해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예방시설 지원 등이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한 농업부문의 피해 경험과 올해 폭염일수가 평년보다 다소 많을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농업인과 축산·원예 등 분야별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농업인이 폭염 상황을 알고 사전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시·군단위 기상예보에 주요 농작물의 생육단계와 한계온도를 결합하는 '폭염 위험 예측정보'와 농업인 대응요령 서비스기반을 마련하고 위험 정도를 '관심·주의·위험'으로 구분해 오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1주일 단위로 농업인과 품목단체 등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 이달부터 기상청 '폭염 영향예보'에 시·군 단위 위험수준에 따른 농업인 대응요령을 안내하고 있으며 '폭염 영향예보'가 발효된 지역의 지자체가 농업인과 품목단체 등에 SNS 등으로 안내문을 전파하도록 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폭염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고령 농업인에게 생수와 아이스팩 등 냉방용품을 전달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에는 농작업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행복나눔이 현장봉사 요원들이 농작업 현장을 점검하며 가사활동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농협중앙회의 농업인행복콜센터를 통해 농촌지역 돌봄대상자 3만 6000여 명에 대해 폭염특보 발령 시 안부 확인 등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폭염으로 강한 일사와 고온이 지속될 경우 원예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수 햇볕데임, 작물 고사 등에 따른 생산량 감소 및 품질저하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온과 강수량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을 선정해 예방대책을 강화했다.

    또 무·배추 등 노지채소에 대해서도 관계기관과 협업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농가 기술지도, 용수기반시설 확충 지원, 예비묘 사전 준비 등 예방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축산분야는 축사내 온습도의 영향이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지는 만큼 축사시설현대화사업을 통해 축사시설 개·보수, 냉방장치·환풍기 시설·장비를 우선 지원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폭염에 취약한 배추, 무, 호박, 당근, 파 등 노지채소 5개 품목을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대상에 포함시키고 과일 햇볕데임 피해에 대한 지원 확대를 위해 선택적으로 가입하던 폭염 보장특약을 올해부터는 주계약으로 전환했다.

    또 농작업 중 발생한 안전재해에 대해 보상하는 '농업인안전보험'의 영세농에 대한 보험료 지원율을 기존 50%에서 70%로 확대했다.

    농식품부는 폭염 피해가 발생할 경우 작물별·생육단계별 맞춤형 대응요령을 전파해 응급복구를 유도하고 피해가 심한지역에는 농진청·도 농업기술원 전문가로 구성된 '현장기술지원단'을 현장에 파견해 긴급복구 기술지원을 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폭염에 대비해 농식품부가 지원중인 과수, 축사, 원예 등 각종 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하고 폭염으로 인한 경영불안 해소와 소득안정을 위해 농업 재해보험에 반드시 가입해 달라"고 농업인들에게 당부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