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경기도 파주시의 한 양돈농장 인근에서 방역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사진=박종민 기자)
치사율 100%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도 파주에서 처음 발견돼 감염경로에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방역당국이 '북한유입'을 비롯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 중이다.
역학조사 등에 대한 정확한 결과가 도출 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돼지열병이 발병한 파주시 연다산동 돼지농장은 돼지번식을 주로 하고 있으며 네팔 출신 외국인 노동자 4명이 관리를 해왔다.
그러나 농장주 부부는 물론, 4명 외국인 노동자들은 최근 해외방문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고향을 다녀왔다고 가정 해도 '네팔'은 돼지열병 청정국이기 때문에 이들을 통해 감염됐을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해당 농장도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구조는 아니다. 농장은 창문이 없는데다 출입문만 있는 등 사실상 폐쇄된 상태와 다름없다.
이곳 농장에 그동안 멧돼지 출몰이 없었고, 사육 중인 돼지들은 사료만 먹여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2월과 6월 농식품부가 이곳 농장 돼지들에 대한 혈청검사를 했을 때에도 이상이 없었다.
이같은 상황과 발병 농가 위치 등을 감안할 때 바이러스 유입지로 북한을 지목하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5월 30일 돼지열병이 첫 발병하는 등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퍼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북한접경 지역에는 철책선이 설치돼 있기 때문에 내륙으로의 멧돼지 이동은 힘들지만, 강물을 통한 유입은 가능하다.
실제 파주 돼지열병 발병 농가와 한강과는 근접 거리에 있다. 발병 농가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자유로를 따라 4~5㎞가량 떨어진 한강, 공릉천 합류 지점 인근에 위치해 있다. 북한과는 7~8㎞ 떨어져 있는 셈이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오두산통일전망대에서 임진강을 건너면 바로 북한 지역이다.
임진강 폭이 500여m밖에 되지 않고 수위가 낮아 수영이 가능한 멧돼지, 오소리, 너구리, 수달 등 육식동물이 쉽게 강을 건널 수 있다. 이에따라 멧돼지 사체를 뜯어먹은 오소리나 너구리도 감염 매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돼지열병과 관련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종민 기자)
◇ 경기도 "돼지열병 관련 북한과의 공동연구 등 제안에 묵묵부답, 답답하다"경기도는 감염경로와 관련,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북한에 상륙한 태풍 '링링'을 이유로 들며 '북한유입'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고있다.
도 관계자는 18일 CBS노컷뉴스의 취재에 "'북한유입'은 현재 상황에서 추정일 뿐 명확한 유입경로를 알수는 없다.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한다. 농식품부 검역본부의 역학조사를 하고 있는 만큼, 결과를 봐야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유럽이나 다른 곳도 유입경로는 크게 야생멧돼지와 휴대 소시지 등 돼지열병 발생국의 음식물이다. 북한에서 태풍에 따른 수해가 있었기 때문에 (떠내려온) 야생멧돼지쪽이 더 가능성이 높게 부각된 의견이 제기중인 듯 하다"고 말했다.
농림축산 검역본부 역학조사과 관계자는 "역학조사 중이다. 결과가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기에 '북한유입' 등 어떤 것도 추정해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검역본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북한유입설' 등을 포함해 현재로서 결정된 사항은 아무것도 없다. 역학조사가 17일 새벽에 들어갔다.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하고있다. '북한유입'으로의 결론은 (현재 상황에서는) 근거가 없는 것" 이라고 전했다.
역학조사 결과 시점에 대해서는 "역학조사이기에 시간이 좀 걸릴 듯 하다. 오늘 내일 결과가 나오지는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야생동물을 매개로 북한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됐을 경우 김포, 강화, 고양 등 한강인접 다른 지역의 피해도 예상되기 때문에 경기도는 역학조사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또 파주의 발병농가 인근에 공단이 위치, 외국인 근로자가 다수 상주하고 있는 점 등도 감염경로 파악에 유의미한 배경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경기도는 '북한유입설'의 진위 여부를 떠나 국내에서도 돼지열병이 발병한 만큼, 북한과의 관련된 '정보 교류'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중국도 마찬가지고 북한도 돼지열병에 대한 정보가 오픈이 안되니 이런 상황에서는 답답하다. 북한에 돼지열병이 발생한 것만 알지 규모 등을 알길이 없다. 돼지열병에 대한 공동연구 등에 대해 통일부나 정부부처를 통해 제안하고 있는데 응답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감염경로가 북한에서 유입될 수도 있고, 반대로 남한에서 북한으로 갈수도 있는만큼, 방역, 예방, 경제 등 여러 차원에서 상호 정보교류는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돼지열병과 관련, 경기도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중에 있는 등 비상이다. 이재명 지사는 17일 최대강도의 대응조치를 주문한데 이어 방역대책비로 특별조정교부금 10억 원을 긴급 지원키로 결정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바이러스성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치사율이 100%에 달하는 등 치명적이지만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서유럽에서 동유럽으로 전파된 돼지열병은 지난해 8월 이후 중국과 베트남으로 급속히 퍼진 후 올해 북한에 발생한 데 이어 16일 국내까지 확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