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4.10 총선 심판의 날…4가지 관전 포인트는?



국회/정당

    4.10 총선 심판의 날…4가지 관전 포인트는?

    지난 총선 처음으로 넘긴 투표율 65%…이번도 넘기나
    與텃밭 사전투표율 하위권…막판 결집?
    조국혁신당 돌풍에 견제 나선 李…범야권 신경전
    지난 총선 '靑배지' 약진…이번에 '龍배지'는?

    제22대 국회의원들이 착용할 국회 배지. 윤창원 기자제22대 국회의원들이 착용할 국회 배지. 윤창원 기자
    2주간 공식 선거운동 레이스를 펼쳤던 여야가 10일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는다.

    이번 총선 성적표에 따라 향후 정국 주도권과 당권의 향배도 판가름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의석수 과반 이상을 확보할 경우 윤석열 정부는 조기 레임덕을 피하기 어렵다. 조국혁신당의 파죽지세 속 나머지 소수 정당의 생환율에 따라 캐스팅보터들의 윤곽도 드러난다.

    역대 최고치 사전투표…전체 투표율 65% 넘을까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지난 6일 끝난 총선 사전투표는 31.28%라는 역대 최고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전체 유권자 4428만11명 가운데 1384만9043명이 참여한 결과다.

    사전 투표율이 가장 높았던 기초자치단체는 전남 신안으로 상위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전남 지역이었다. 가장 낮은 대구 달성 등 하위 5개 기초단체 중 3곳이 대구 지역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 좁혀봐도 전통적 여당 강세 지역인 강남은 대구와 마찬가지로 사전투표율이 낮았고, 서울 동작과 용산 등 격전지 사전투표율은 평균을 웃돌았다.

    진보 진영이 일찌감치 결집한 모습에 보수 진영이 본투표에서 결집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심사다. 노령 인구가 몰려 있는 보수 진영 내에서는 아직까지 사전투표에 대해 미온적 태도를 보여 본투표에 대거 몰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반면,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직접 사전투표를 독려했던 만큼 보수세가 끝내 결집하지 못할 것이라는 정반대의 해석도 존재한다.

    여야 모두 높은 사전투표율에 대해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는 가운데 관심은 당일 본투표까지 합산한 전체 투표율이 얼마나 되느냐로 모아지고 있다.

    총선 투표율은 2004년 60.6%를 기록한 후 2008년 46.1%, 2012년 54.2%, 2016년 58.0%로 3회 연속 60%에 미치지 못했다가 2020년 역대 최고치인 66.2%를 기록했다.

    다만 유권자 지형이 달라지면서 '투표율이 높을수록 진보 정당에 유리하고 특히 65%를 넘어설 경우 압승한다'는 통설이 통할지는 아직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통적 지지층인 60대 이상 장년층 지지세에 2030 표심을 더하겠다는 '세대포위론'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20·30대가 이전처럼 진보 진영에 쏠려있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40대는 민주당을,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선택했고 청년층은 엇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이재명과 한동훈, 운명 엇갈릴까…단독 과반 1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역 광장에서 열린 정권심판·국민승리 총력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역 광장에서 열린 정권심판·국민승리 총력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다음 관전 포인트는 '정국 주도권을 누가 차지하느냐'다. 특히 민주당이 단독 과반을 달성하는지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

    최근 언론사 여론조사와 정당별 자체 분석을 종합하면 민주당이 단독으로 과반 정당이 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민주당 내에서는 비례정당까지 합쳐 지난 총선과 크게 다르지 않은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라는 예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국회 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요건이 상임위원회 위원 5분의 3 이상의 찬성인만큼 180석 이상을 얻을 시 윤석열 정부는 조기 레임덕(권력 누수)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필리버스터 역시 24시간 이내 강제 종료할 수 있고 권력형 비리 특검도 추진 가능해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체제가 공고화된다. 반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총선 참패의 책임 여부를 놓고 격랑 속에 빠져들게 된다. 한 위원장의 거취를 놓고 당내에서는 "120석을 밑돌 경우 힘은 빠지더라도 체제를 유지할 수는 있고 110석 밑으로 떨어지면 생명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총선 파이널 유세를 갖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총선 파이널 유세를 갖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황진환 기자
    국민의힘이 내심 기대하는 대로 120석 이상을 얻을 경우엔 반대로 정국주도권을 둘러싼 범야권 내 다툼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재명 대표와 조국 대표의 정치적 뿌리와 지지 기반이 갈리기 때문이다. 특히 조국혁신당이 돌풍을 일으키며 교섭단체 구성(20석)도 넘보게 되자 이 대표는 "우군보다 아군이 많아야 한다"며 견제에 나섰다. 이 대표 지지자들은 일명 '몰빵론'까지 내세우고 있다.

    위성정당에 2연타? 조국혁신당은 '파죽지세'

    지지 호소하는 조국 대표. 연합뉴스지지 호소하는 조국 대표. 연합뉴스
    조국혁신당의 성적표도 초미의 관심사다. 조국혁신당은 여론조사 공표 기간 전 발표된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를 앞서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10석+α'가 현실화하면서 '범야권 200석론'까지 탄력받기도 했다.

    조국혁신당의 돌풍은 지난 21대 총선 당시 범여권의 표를 일정 부분 잠식해 원내 진입에 성공했던 열린민주당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당초 조국혁신당은 '지민비조(지역구 민주당·비례대표 조국당)' 현상을 낳으며 진보 진영의 결집을 이끈 측면도 있지만, 독자세력화가 가능해지면서 형제 관계에서 경쟁 관계로 전환됐다는 평가다.

    동시에 조국혁신당이 제3지대 표를 끌어모으면서 일부 친문계가 모였던 새로운미래는 물론 녹색정의당까지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때는 교섭단체까지 넘보던 녹색정의당은 지난 총선에서는 위성정당 여파에 6석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거뒀고, 이번 총선에서는 의석을 대부분 잃게 될지도 모른다는 절체절명의 위기 상태에 직면해 있다.

    마지막 집중유세 하는 개혁신당. 연합뉴스마지막 집중유세 하는 개혁신당. 연합뉴스
    개혁신당은 보수 진영 이탈표를 흡수하지 못하면서 고전하고 있다. 지역구 투표에서는 이준석 대표가 '꼼수 증여' 논란을 일으킨 민주당 공영운 후보를 상대로 막판 혈투를 벌이고 있지만 상승세를 다소 뒤늦게 탔다는 분석이다. 보수 진영 이탈표는 오히려 자유통일당에서 일부 흡수하면서 '마의 3%'(비례대표 정당 선거비용 보전 득표율 기준)를 뚫고 원내 진입에 성공할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초라한 '용핵관' 성적표? 지난 총선 보니…


    총선을 앞두고 출사표를 낸 용산 대통령실과 장관 출신들의 성적도 또 다른 관심사다.

    장관 중에서는 권영세 전 통일부 장관,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박진 전 외교부 장관,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 추경호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방문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승환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 7명이 공천권을 따냈다. 다만 추 전 부총리(대구 달성)와 조 전 장관(부산 중·영도)을 제외한 나머지 장관들은 서울과 경기에 지역구를 두고 있어 당선 여부가 불투명하다.
     
    대통령실 참모 출신 중 본선행에 오른 경우는 모두 14명이다. 가장 기대를 모으는 후보는 주진우 전 법률비서관(부산 해운대갑)과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경기 용산갑)의 원내 입성 여부다. 두 후보는 검찰 재직 당시부터 윤 대통령과 근무연을 맺어 참모 중에서도 각별하다는 평가다. 두 후보 모두 전통적인 텃밭에 공천을 받아 정권심판론을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판세는 박빙으로 접어든 모양새다.
     
    반면 지난 총선에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인기에 힘입어 일명 '청(靑)배지'가 약진했다. 정권심판론이 불고 있는 이번 총선과 정반대 흐름이 나타난 덕분이다. 원내 입성에 성공한 '청배지'만 해도 윤건영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한병도 전 정무수석, 김영배 전 민정비서관, 고민정 전 대변인 등 20여명에 달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모임 초금회(청와대 출신 초선 금요 모임)도 활동했고 보좌진 모임도 별도로 있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