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당선인이 19대 대통령 선거일인 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두 팔을 번쩍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영호남으로 대표되는 지역구도에 균열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미증유의 국정농단 사태로 촉발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선거라는 측면이 맹목적 '몰표'를 막는 요인이었다.
또 박근혜-문재인 양강 구도를 이뤘던 18대 대선과 달리 이번 대선은 다자구도로 치러진 것도 지역구도를 완화시키는데 한몫 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의 최종 득표율은 41.1%로 수도권과 충북, 호남은 물론 보수색이 강한 강원과 부산·울산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보수의 심장격인 대구와 경북 지역에서도 20%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는 점이다.
문 당선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 21.8%를 득표했다. 경북에서도 21.7%의 득표율을 올렸다. 지난 18대 대선 당시 대구과 경북 지역 지지율이 각각 19.5%, 18.6%에 그친 점과 비교할 때 소폭이나마 오른 수치다.
반면 마지막까지 보수 결집을 호소했던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절반의 지지를 받는 데 그쳤다. TK 수성에는 성공했지만, 대구 45.4%, 경북 48.6%로 과반 득표에 실패했다.
TK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80%의 지지를 몰아준 지역이다. 하지만 이번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로 보수 표심이 흩어진 양상을 보였다. 안 후보는 대구 15%, 경북 14.9%의 지지를 얻었다. 유 후보도 대구에서 12.6%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물론 유 후보는 물론 안 후보가 얻은 표의 상당 수가 보수 표라는 점에서 진보 후보에 대한 거부반응은 여전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문 당선인의 집권을 막기 위해 전략적 투표를 하기 보다는 소신투표를 했다는 점에서 보수의 대안세력을 찾아나선 흐름을 읽을 수 있다.
PK의 경우 흔들린 지역구도 양상이 더 확연히 드러났다. 홍 후보가 도지사를 지낸 경남을 제외하고는, 부산과 울산에서 문 당선인이 각각 38.6%, 38.1%의 지지로 1위를 차지했다. 경남은 홍 후보 37.2%, 문 당선인이 36.7%로 초박빙 양상을 보였다.
야권의 심장인 호남 역시 특정 후보로의 쏠림 현상이 옅어진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12년 18대 대선에서 문 당선인은 광주 91.9%, 전남 89.2%, 전북 86.2%으로 80% 이상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절반을 조금 넘긴 과반 확보에 만족해야 했다.
광주에서 문 당선인은 61.1%로 1위, 안 후보는 30.1%로 2위를 차지했다. 전남과 전북 지역에서 안 후보 득표율은 각각 30.7%, 23.8%로 표심이 분산됐다.
지난해 20대 총선에서 양당 체제 대신 다당 체제를 선택했던 민심이 이번 대선에서도 지역주의 '몰표' 대신 새로운 대안세력을 찾는데 눈을 돌리고 있다는 '변화'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다.{RELNEWS: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