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친환경 탈 쓴 전기차…멀고도 험한 탄소제로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무공해차 보급이 늘어나고 있지만, 전기차의 친환경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전기차 생산 기업들은 '제로 에미션(zero-emission)이란 표현을 사용합니다. 탄소를 배출하는 내연기관과 달리 전기차는 주행 과정에서 배출가스를 내뿜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동차의 제작부터 운행되고 폐기되는 순간까지의 탄소배출을 보는 LCA(전생애주기 평가·Life Cycle Assessment) 규제로 전기차를 평가하면 제로 에미션이란 표현을 사용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주행시는 탄소배출 0…넓게보면?

전기차는 연료의 연소가 필요한 엔진 없이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탄소 배출 없는 친환경차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LCA의 한 부분인 '연료의 생산 과정부터 자동차 운행과정까지 발생하는 모든 배출을 고려하는 WTW(유정에서 바퀴까지·Well To Wheel)'에 따르면 전기차도 탄소배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한전)에 따르면 전기차의 연료로 사용되는 전기는 국내에서 1kwh 생산시 이산화탄소가 424g 발생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전비
5km/kwh의 전기차의 경우 1km 주행시 84.8g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입니다. 이는 준중형차가 1km를 주행할 때 106g의 탄소를 배출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실제로 2020년 5월 한국자동차공학회가 LCA로 차종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한 결과 T사의 순수전기차(I)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H사의 내연기관 차량(A)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수소차에 각종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구매 보조금은 최대 700만 원으로 작년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목표로 하는 전기차 보급대수는 20만 7천 대로 2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각종 세제 혜택도 부여해 개별소비세·교육세·취득세를 감면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공영주차장 할인, 낮은 자동차세 등으로 전기차를 구매하는데 부담을 덜어주고 있습니다.
 

전기차가 진정한 친환경이 되기 위한 선결조건

친환경이라 알려진 전기차지만 주행에 필요한 전기의 생산과정이나 차량 제작 등 에서 여전히 탄소가 배출되고 있어 진정한 친환경이 되기까지 갈 길이 멀어보입니다.
    
한전이 발표한 '2021년 기준 국내 전기 생산시 에너지원별 발전량'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화석연료인 석탄과 LNG의 비중이 61.3%, 원자력 발전은 29.4%, 신재생에너지 7.3%,
양수
0.6%로 현재는 친환경 발전의 비중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핵심이라 손꼽히는 배터리는 생산과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매우 높은 편이지만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리기 위해 더 많은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전기차 한 대 생산시 발생하는 탄소 11t 중 절반에 가까운 5.3t이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배터리의 더 큰 용량보다는 같은 양의 전기로 얼마나 더 길게 주행할 수 있느냐(전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전기차가 진정한 무공해가 되기 위해선 신재생에너지 등을 이용한 친환경 발전과 배터리 효율성의 극대화를 통해
WTW
자체의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합니다.

외면받는 하이브리드…이유는?

    
값비싼 전기차의 대용으로 엔진과 전기로 움직이는 친환경 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가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은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지난 2월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2025년 또는 2026년부터 하이브리드차를 저공해차 대상에서 제외하고 관련 세제혜택 등을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하이브리드차는 개별소비세·교육세·부가가치세를 최대 143만 원, 취득세를 최대 40만 원 감면하는 세제혜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26년 이후 소비자들은 현재보다 200만 원에 가까운 돈을 더 주고 사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하이브리드차가 저공해차에서 제외될 만큼 친환경차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중에 판매중인 준중형, 중형, SUV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1km를 주행하는데 탄소가 평균 81g이 발생합니다. 그에 반해 전기차는 1km를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데 평균 76g의 탄소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에 1만 2천km를 주행할 경우 전기차가 필요한 전기를 얻는데 발생하는 탄소의 양은 9134kg으로 하이브리드차가 발생시키는 9720kg에 비해 7.1% 정도 탄소배출이 적은 것으로 계산됩니다. 전기차를 내연기관과 비교할 경우 38.1%의 차이를 보입니다.
 
이렇듯 차종과 시험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내연기관에 비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의 탄소배출량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전기차는 전기의 생산이 친환경에 가까워질수록 하이브리드차와 격차가 벌어집니다. 전기차 자체에서는 주행 중 탄소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되는 탄소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일반 차량과는 달리 전기차는 생산·재활용 공정에서 탄소 포집 기술을 이용해 수소를 추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EU는 2035년부터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모든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를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도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구매 보조금과 세제지원을 전기·수소차 중심으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멀고도 험한 친환경…우리나라는?

정부는 지난 2020년 12월 7일 '2050 탄소중립'을 발표하며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 선언했습니다.
 
현재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체계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거주지 중심 전기차 충전기(전국 2천만 세대), 도심·거점별 수소충전소, 그린수소 생산시스템 등 3대 인프라를 완비해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의 생산과 보급을 확대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2050년에 가까워질수록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운행되는 친환경 전기차를 만나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 2003 CBS M&C, 노컷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