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개고기 충돌 "우리도 먹고 살개" vs "그만 잡수시개"



사회 일반

    개고기 충돌 "우리도 먹고 살개" vs "그만 잡수시개"

    <육견사육업자>
    - 개고기 금지, 육견업자 '생존권 침해'
    - 반려견과 식용견 엄연히 달라

    <동물보호단체>
    - 개고기 반대는 이미 자연스러운 흐름
    - 모든 개는 반려견… 편의적 잣대 안돼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최영인(경기 안성 육견사육업자 사장), 조희경(동물자유연대 대표)

     

    오늘 많이 더울 거라고 하죠. 내일이 초복입니다. 매년 복날이 되면 떠오르는 논쟁. 개고기 논쟁이 올해도 벌어졌는데요. 예년보다 훨씬 격렬합니다. 그 이유는 개고기를 키우고, 판매·유통하는 상인들이 생존권 문제를 들고 나왔기 때문입니다. 도축과 판매가 불법도 아닌데 마치 불법처럼 대우를 하면서 개고기 소비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살 수가 없다 이런 논리입니다. 최근에는 동물보호단체하고 이 육견판매상들 단체가 각각 도심에서 집회를 열기도 했는데 상여까지 등장을 했습니다. 여느때보다 훨씬 격렬해진 이 개고기 논쟁 짚어보고 가죠. 먼저 경기도 안성 지역에서 육견사육업을 하시는 분이세요. 최영인 씨 연결이 돼 있습니다. 최영인 씨, 안녕하세요.

    ◆ 최영인> 안녕하세요.

    ◇ 김현정> 사육업이라면 개를 키우시는 거예요?

    ◆ 최영인> 개를 키워서 판매를 하는, 즉 사육만 하는 거죠.

    ◇ 김현정> 최 사장님처럼 육견을 키우고 유통하고 판매하고 이런 분들 다 합쳐서 어느 정도나 됩니까, 그 수가?

    ◆ 최영인> 지금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농장을 하시는 분들이 한 1만여 군데 되고요. 그다음에 유통이나 보신탕집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분들을 다 합쳐보면 150만 명 정도가 아마 개를 가지고 먹고살 겁니다.



    ◇ 김현정> 150만 명으로 추산. 그런데 얼마 전에 도심집회에서 관련업자들이 집회현장에 상여까지 메고 나오셨어요. 아니, 그 정도로 절박하십니까?

    ◆ 최영인> 지금 진짜 완전히 무대책입니다. 이거 하시는 분들 거의가 60, 70대 되시는 분들인데 이분들이 이거 손을 놓게 되면 전업을 하실 겁니까? 뭘 하실 겁니까? 진짜 깜깜하죠, 앞이. 그러다 보니까 죽기살기로다가 대응을 하는 건데. 최근 2, 3년 동안 예전에 나갔던 수 3분의 1 정도로 수요가 줄어버리잖아요. 솔직히 개, 보신탕을 드시는 손님들을 안 좋은 눈초리로 쳐다보고 하는데 그 발길이 돌려지는 거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런데 개 식용에 반대하는 분들의 입장은 이렇습니다. 개는 지능이 상당히 높고 인간과 옛날부터 가족처럼 지내는 동물이다. 먹을 것이 없었던 예전이야 어쩔 수 없이 잡아먹었다 치더라도 지금은 영양가 좋은 먹을거리가 차고 넘치는데 굳이 개를 잡아서 먹을 필요가 있겠는가?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진=자료사진)

     

    ◆ 최영인> 저는 어불성설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소, 돼지 다 지능 있습니다. 소나 개나 닭이나 모든 가축은 우리가 먹거리로다가 해서 키우던 거지 예전 선사시대부터 쭉 내려온 식습관인데 그걸 이제와서 뭐 애완견이니 반려견이니 하면서 먹지 말아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저희 입장에서는.

    ◇ 김현정> 사실은 동물보호단체에서 더 문제 삼고 있는 부분은 도축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거든요. 땅에 발도 못 딛는 뜬장, 철장에서 태어나서 비위생적으로 키워지는 데다가 도축할 때도 최근에 적발이 됐습니다마는 쇠꼬챙이를 입에 찔러가지고 감전을 시켜 죽인다든지 일부 식당에서는 여전히 개를 직접 손님이 골라가지고 그 자리에서 매타작을 해서 죽인다든지 이런 보도도 봅니다. 이건 너무 잔인한 방식 아니냐? 어떻게 생각하세요?

    ◆ 최영인> 그렇게 개를 때려서 잡고 하는 건 저는 없다고 생각을 해요.

    ◇ 김현정> 감전해서 죽이는 방법.

    ◆ 최영인> 쇠꼬챙이 그건 소, 돼지 다 그거 전기로다 하고 있거든요. 축산법상에 동물보호법상에도 그게 맞는 방법이고요. 개는 특성상 뜬장에서밖에 사육을 할 수가 없잖아요.

    ◇ 김현정> 왜 그렇습니까?

    ◆ 최영인> 왜냐하면 개를 풀어서 사육을 하게 되면 사람한테 피해를 입힐 수도 있고.

    ◇ 김현정> 풀어서 사육까지는 아니지만 적어도 땅에 발을 디딜 수는 있게 해 줘야 되는데, 소, 돼지처럼요. 그런데 배설물 치우는 게 귀찮아가지고 뜬장에서 그냥 키워버린다. 이런 경우를 하도 많이 봐서요.

    ◆ 최영인> 뜬장은 닭도 마찬가지죠. 가축으로 인정을 하게 되면 사육의 방식은 사육하시는 분이 알아서 할 부분인데.

    ◇ 김현정> 알겠습니다. 반려견하고 식용견은 구분해 달라 이런 요청이신 거죠?

    ◆ 최영인> 구분해야죠. 저희도, 식용견을 사육하는 분도 반려견을 집에서 사육하시는 분이 계세요.

    ◇ 김현정> 반려견 키우면서 식용견 사업하시는 분도 계세요?

    ◆ 최영인> 한두 마리 아이들이 좋아하니까 이제 이렇게 개를, 반려견을 방 안에서 가족처럼 키우죠. 식용견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개니까 편리한 방식대로 사육을 하는 거고.

    ◇ 김현정> 시각이 너무 차이가 나네요. 식용견, 반려견을 따로 봐달라라는 지금 식용견 관계자의 입장. 알겠습니다. 마지막 30초 드리겠습니다. 꼭 하고 싶은 말씀 있으면 하시죠.

    ◆ 최영인> 당연히 있죠. 지금 동물보호단체 하는 소리는 개백정이라고 합니다, 개백정.

    ◇ 김현정> 개백정?

    ◆ 최영인> 이게 다 세금 내고 대한민국 국민인데 너무 이건 아니라고 생각을 하고요. 어느 때는 서글픈 생각마저 드는 그런 심정이거든요.

    ◇ 김현정>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심정 듣죠. 말씀 고맙습니다.

    ◆ 최영인> 네, 수고하셨습니다.

    ◇ 김현정> 개고기 유통업, 이쪽에서는 육견이라고 부릅니다. 육견 유통업에 종사하고 계시는 분이세요. 최영인 씨를 먼저 만나봤습니다. 이어서 동물단체 입장 들어보죠.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 연결합니다. 조 대표님, 나와 계세요?

    동물자유연대 등 동물보호단체 회원들이 9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스탑 잇(STOP IT) 2017' 페스티벌을 열고 잘못된 보신문화와 개고기 식용 중단을 촉구하는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 조희경> 네.

    ◇ 김현정> 지난 9일에 그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린 행사 보니까 ‘이제 그만 잡수시개’ 이게 제목이더라고요.

    ◆ 조희경> 네.

    ◇ 김현정> 여기서 개는 '도그'. '개' 할 때 그 '개'.

    ◆ 조희경>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먹을 게 넘쳐나는데 굳이 개까지 잡아먹을 필요가 있느냐, 이제는 그런 말씀?

    ◆ 조희경> 네. 그런 거죠.

    ◇ 김현정> 그런데 앞에서 개를 키우시는 분은 이런 말씀하세요. 동물보호단체가 식당 앞마당 와서 집회를 하고 훼방을 놓으면서 우리가 심각하게 생존권에 타격을 받고 있다. 3분의 1이 문을 닫았고 그분들은 오랫동안 이쪽 업종에 종사해 오던 분인데 지금 당장 할 것도 없고 먹고사는 문제에 봉착해 있다. 우리 생존권을 지켜다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조희경> 식당 앞에서 집회를 하시는 분들은요. 동물보호단체가 아닙니다. 일반 시민들이 풀뿌리 모임들이 너무 많이 생긴 거예요. 그것은 다시 말해서 사회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생존권에 대해서 심각한 위기를 느끼신다는 것은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지 이 부분하고 전혀 다른 부분이고요.

    ◇ 김현정>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사회현상이다, 이렇게 보시는 거예요?

    ◆ 조희경>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래요. 그러면 동물보호단체에서 주장하는 도축과정의 학대 문제. 이 부분에 대해서도 저쪽에서는 이렇게 말씀하세요. 개를 사육하고 도축하는 환경 그렇게 비위생적인 것 아니다 ‘뜬장’이니 이런 것들도 위생적으로 하기 위해서 뜬장을 만들어 놓은 것이고 도축과정에서 전기꼬챙이를 이용해서 죽인다든지 이런 방법도 이게 ‘소, 돼지도 그런 식으로 도축한다’, ‘별 문제될 게 없다’ 말씀하시는데요.

    ◆ 조희경>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비위생적입니다. 위생적이지 않습니다. 뜬장 밑에 개의 오물을 계속 쌓아둡니다. 때문에 그 안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냄새라든가 그 안에서 구더기도 발생하고 그 밑에 개가 살아가는 공간 바로 밑에서 그런 환경에서 개를 키우고 있는데 그거를 뜬장이기 때문에 비위생적이지 않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맞지 않고요.

    ◇ 김현정> 도축은 어떤가요? 도축방식?

    ◆ 조희경> 저는 세계적으로 그 가축에 맞는 ‘동물복지’ 기준을 계속 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그 기준에 따라서 도축을 하도록 돼 있는데 ‘전살법’에서 전기를 사용한 방식 자체는 죽이는 방식에 직접적인 것이 아니고 기절하는 수단으로 쓰이는 거고 이후에 직접적인 죽임은 목을 따서 방혈하는 그 수순으로 죽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개는 그냥 각성상태인지 완전하게 죽음에 이르렀는지 이러한 부분들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바로 털 뽑는 기계로 들어가고 토치로 그을려지는 게 이게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 부분에서 잔인하다라는 말씀을 하시는 거예요. 동물보호단체에서는 근본적으로 ‘반려견과 식용견이 다르지 않다’ 라는 주장을 계속 해 오고 계시네요.

    ◆ 조희경> 그렇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식용견을 키우는 분들은 ‘엄연히 다르다.’ 심지어 우리 식용견 키우는 사람들은 집에서 반려견을 따로 키울 정도로 이것과 저것은 다르다라고 얘기를 하세요.

    ◆ 조희경> 그것은 정말 편의성에 의해서 잣대를 들이댄 거고요. 우리가 사람을 놓고 양반과 노예가 사람이 다르다 이렇게 말하지 않잖아요. 이처럼 개의 속성은 동일합니다. 개가 속성이 다르지는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걸 이건 식용견이고 이건 반려견이다라고 하는 건 마음 편하자고, 스스로도 도덕적 부담감이 있으니까 마음 편하자고 하는 분류라고 저희는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분들도 마음 불편하니까 그렇게 해 놓는 거다? 끝으로 육견업에 종사하는 분들 주장, 최종 주장은 뭐냐면 차라리 이 식용견을 소, 돼지처럼 가축으로 확실하게 분류를 해 달라. 그러면 정부의 관리하에 들어가니까 지금 이 반대하시는 분들이 문제 삼는 그 사육 과정의 문제, 도축 과정의 문제 이게 다 해결될 수 있지 않겠느냐. 이 대안 어떻게 보세요?

    ◆ 조희경> 이건 절대로 안 된다고 봅니다. 안 되는 이유는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개고기를 그만 먹자라는 시민의 자발적 모임이 계속 생기고 있어요. 이건 사회 현상이에요. 이 부분을 거스르면서 합법화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요. 절대 받아들일 수가 없고요. 또 하나는 이미 기존 축산업에 있는 동물들조차도 사육방식과 도축방식이 계속 문제제기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를 새롭게 그 범위에 집어넣으면 이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건 전혀 맞지 않는 얘기기 때문에 그건 성립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 김현정> 가축의 범주에 넣어서 합법화하자라는 이야기. 차라리 그게 낫지 않겠냐는 주장도 동의하기 어렵다. 여기까지 말씀 듣죠. 조희경 대표님 고맙습니다.

    ◆ 조희경>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까지 만났습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