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화재청, 익산 왕궁리 유적 발굴조사 28일 공개



문화재/정책

    문화재청, 익산 왕궁리 유적 발굴조사 28일 공개

    백제 후원의 전모 확인

    익산 왕궁리 유적, 후원 전경 (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8일 11시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제408호)에 대한 2013년도 발굴조사 성과를 설명하고 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

    익산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600~641년) 때 조성된 궁성으로 1989년부터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의 하나로 연차적인 발굴이 이루어져 왔다.

    그동안 궁성과 관련된 성벽,전각․정원․후원․대형화장실․공방 터 등이 조사되었고, 인장 기와 중국제 자기․ 연화문 수막새를 비롯한 중요 유물 5,900여 점이 출토돼 학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후원 공간의 총면적은 39,100㎡이며 2009년부터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해 그 전모를 확인했다.

    후원에서는 돌을 반듯하게 다듬어 설치한 석렬 시설, 9부 능선을 따라 구릉을 감싸는 환수구, 구릉 정상부에 조성된 건물지가 확인됐으며 다채로운 괴석을 자연스럽게 배치하고 물을 이용하여 경관을 조성하였다.

    환수구는 그 자체가 조경시설인 동시에 구릉 정상부에서 내려오는 물을 성 외곽으로 빼내는 수로)의 역할도 담당했다.

    이 후원은 백제 때 궁성의 일부로 조성된 이후 궁성에서 사찰로 바뀌면서도 거의 원형 그대로 활용되다가, 환수구를 대체하는 곡수로와 구릉 정상부 방형 초석 건물지 등이 추가로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후원의 사용 시기는 후삼국~고려시대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후원의 다채로운 괴석과 물을 통한 경관 조성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우리나라 조경기술의 시원 형태이며, 또 백제 궁원 관련 기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유일한 발굴 조사 성과로서 그 의의가 크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복합적 연구를 통해 백제 조경 기술의 실체를 확인하고 후원을 복원 정비할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