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여성주의 색 빼기? '세상을 바꾼 변호인' 홍보물 논란



영화

    여성주의 색 빼기? '세상을 바꾼 변호인' 홍보물 논란

    CGV아트하우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를 '꾸안꾸'-'핵인싸'-'러블리'로 소개
    긴즈버그, 남녀의 동등한 권리 쟁취하려 애쓴 여성 변호사
    "좋은 작품의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의견 수렴할 것" 해명
    지난해 개봉작 '밤쉘'의 헤디 라머를 '공대 아름이'로 홍보하기도
    "영화가 지닌 매력을 보여주는 데 오히려 악영향"
    "여성의 훌륭함을 하나의 업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대상화해"

    왼쪽28일 CGV아트하우스 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이미지

     

    CGV아트하우스가 미국 역사상 두 번째 여성 대법관이 된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를 소재로 한 영화 '세상을 바꾼 변호인' 홍보물을 공개했다가 거센 비판을 받았다. 그러자 배급사 측은 작품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앞으로도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해명했다.

    CGV아트하우스는 28일 공식 인스타그램에 '세상을 바꾼 변호인'에서 긴즈버그 역을 맡은 펠리시티 존스의 홍보 이미지를 여러 장 올렸다. 남녀의 동등한 권리를 쟁취하려 애쓴 여성 변호사 긴즈버그의 삶이나, 영화 내용과는 무관한 부적절한 홍보 문구로 뭇매를 맞았다.

    한 홍보용 이미지에는 '독보적인 스타일', '진정한 힙스터', '시대의 아이콘', '핵인싸', '데일리룩'이라는 문구가 나타나 있었다.

    붉은 의상을 입은 이미지에는 '러블리한 날', 검은 정장을 입은 이미지에는 '포멀한 날', 비교적 편안한 의상을 입은 이미지에는 '꾸.안.꾸한 날'이라는 문구가 들어갔다. '꾸.안.꾸'는 '꾸민 듯 안 꾸민 듯'이라는 의미다.

    이는 이미 미국에서 만들어진 원본 이미지와도 현격히 차이가 난다. CGV아트하우스가 '진정한 힙스터'와 '핵인싸', '데일리룩'을 강조했으나, 원본 이미지에는 '리더', '변호사', '활동가', '정의' 등 긴즈버그란 사람이 어떤 인물이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가 잘 나타나 있다.

    '꾸.안.꾸' 이미지 원본에는 'MARVELOUS'(놀라운, 감탄할 만한)가, '포멀한 날' 이미지 원본에는 'INSPIRING'(영감을 주는), '러블리한 날' 이미지 원본에는 'HEROIC'(영웅의, 숭고한)라는 표현이 들어갔다.

    온라인 상에서는 CGV아트하우스가 부적절한 홍보 문구로 영화의 내용과 취지를 왜곡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세상을 바꾼 변호인'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가 성차별의 근원을 무너뜨릴 수 있는 사건을 맡으며 법에 도전하는 위대한 과정을 그린 작품이기 때문이다.

    CGV아트하우스는 미국 사상 2번째 여성 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를 다룬 영화를 소개하면서 '러블리한 날', '꾸.안.꾸한 날'이라는 홍보 문구를 담았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인스타그램)

     

    또한 무수한 성차별에 저항한 긴즈버그의 삶을 잘 보여주는 원제 'ON THE BASIS of SEX'(성에 기반한 차별)와 달리, '세상을 바꾼 변호인'은 긴즈버그가 처한 상황이나 그의 활약상을 축소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비판이 나오자, CGV아트하우스 측은 28일 인스타그램에서 해당 이미지를 삭제했다.

    이에 '세상을 바꾼 변호인' 측은 29일 CBS노컷뉴스에 "공식 포스터는 아니고 인스타그램 홍보 이미지로 만든 것이다. 그런(비판적인) 반응이 있어서 바로 조치했다"면서 "좋은 작품의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앞으로도 의견을 수렴해 수정해 나가겠다"고만 밝혔다.

    CGV아트하우스가 여성 업적을 희미하게 만드는 영화 홍보로 입길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6월 개봉한 '밤쉘' 홍보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밤쉘'은 와이파이를 발명하는 등 근대 통신기술 혁신을 이룬 발명가 헤디 라머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이때 CGV아트하우스는 공식 페이스북에 "이 얼굴 실화…? 공대 아름이의 원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불리는 #헤디라머 이야기 #밤쉘"이라고 썼다.

    '밤쉘' 배급사는 ㈜영화사 그램으로, CGV아트하우스가 배급을 맡은 작품은 아니다. 그런데 CGV아트하우스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만 기억됐던 헤디 라머의 이면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를 홍보하면서 이와 동떨어진 문구로 게시물을 올린 것이다. 당시에도 부주의했다, 적절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져 해당 게시물은 CGV아트하우스 페이스북에서 지워진 상태다.

    이승한 칼럼니스트는 '세상을 바꾼 변호인'과 '밤쉘'의 사례를 들어 "사실 CGV아트하우스가 여성주의적인 메시지가 선명한 작품을 극장에 걸면서, 정작 홍보의 과정에서는 최대한 여성주의적인 색깔을 지우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말하자면 여성주의적 서사가 아니라 그냥 보편적인 영웅 서사라는 식으로 홍보하면, 여성주의에 큰 관심이 없거나 반감을 가진 관객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계산이 있었을 것 같다"고 바라봤다.

    이어, "설령 그 의도가 나쁜 게 아니라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헤디 라머를 '원조 공대 아름이'로 부르거나, RBG를 데일리룩을 선보이는 핵인싸인 것처럼 소개하는 일이 영화에 대한 존중은 둘째 치고, 영화가 지닌 매력을 보여주는 데 오히려 악영향을 끼치는 건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세상을 바꾼 변호인'의 미국 포스터. 원제는 'ON THE BASIS of SEX'다. (사진=CGV아트하우스 제공)

     

    황진미 대중문화평론가는 "정말 어떤 여성이라도, 그 여성의 훌륭함을 하나의 업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여전히 대상화한다는 것"이라며 "잘난 여성은 스스로 잘날 수 없고, 얼마나 사랑스러우냐에 따라서 가치를 매기겠다는, 사랑스러움을 품평하는 '남성 관객의 위치'만이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황 평론가는 "미국 원본 홍보물처럼 'HEROIC'을 쓰게 되면 남성들이 '페미 영화야?' 하면서 거부감을 보일 테니, '아냐. 이 여자는 잘나기도 했지만 얼마나 아름답니? 잘 봐' 하고 어필하는 것 아닌가"라고 부연했다.

    또한 "긴즈버그가 여성스러운 옷을 입은 데에는 스스로 이유를 밝힌 바 있다. 지극히 남성적이고 권위적인 대법원이라는 공간에, 여성임이 뚜렷이 보이는 상태로 들어오겠다는 거다. 명예남성에 머물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인데, 거기다 대고 똑똑한 건 둘째 치고 참 예쁘구나, 하고 본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 평론가는 "여성을 한 사람으로서, 전인적인 인격을 가진 존재라는 것, 어떤 일을 하고 어떤 생각을 하는 사람인지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영화에 관심 있는 관객층에게도 전혀 어필하지 못했다. 차라리 노이즈 마이킹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딥 임팩트', '피스메이커' 등을 연출한 여성 감독 미미 래더가 메가폰을 잡고, 배우 펠리시티 존스가 긴즈버그 역할을 연기한 '세상을 바꾼 변호인(원제 'ON THE BASIS of SEX')은 6월 13일 개봉한다.

    6월 13일 개봉하는 영화 '세상을 바꾼 변호인' (사진=CGV아트하우스 제공)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