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백약이 무효' AI 창궐 무엇이 문제인가



전북

    '백약이 무효' AI 창궐 무엇이 문제인가

    경기·전북·전남 등 전국 각지서 누적 58건
    예년과 달리 산발적 확산세…역학조사 및 차단 방역 한계
    전문가 "가금농장 허술한 방역관리가 화 키워"
    방역시스템 객관적 평가, 농장주 인식 개선 강조
    농장주는 방역 인력과 비용 문제 호소

    제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제주도 제공

     

    전국 각지에서 하루가 멀다 하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4일 전남 무안과 전북 정읍, 경기 안성 등의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부터 지금까지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전국 가금·체험농장은 모두 58곳으로 늘었다.

    이 중 전북에서만 12곳의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됐다.

    방역당국은 두 달도 되지 않아 도내에서만 닭과 오리 약 300만 마리를 땅에 묻었다.

    최근 AI 발생은 농장 간 수평 전파가 아닌 산발적 감염이 두드러진다. 이 때문에 발생 농가 인근 가금농장에 대한 살처분을 두고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형관 전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정확한 역학관계를 조사해서 살처분을 최소화해야 한다. '묻지마식'으로 닭과 오리를 땅에 묻기보다 전문적, 과학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데 공감한다"고 말했다.

    박하담 오리협회 정읍시지부장도 "농장 간 수평 전파가 아닌데도 인근 농가의 가금을 무조건 살처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역당국은 고병원성 AI 발생 농장의 반경 3㎞ 내 사육 가금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반경 10㎞ 내 가금농장에 대한 30일간 이동 제한 및 AI 일제검사를 실시하는 등 AI 차단 방역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산발적 감염이 이어지고, 정확한 바이러스 전파 경로가 확인되지 않으면서 방역당국과 가금농장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장형관 교수는 "AI 확산에는 방역당국의 일부 책임도 있지만, 가금농장의 허술한 방역관리에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방역은 특정 계절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연중 소독과 출입차량 관리 등에 농장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단위 농장의 방역시스템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농장주 인식 개선과 전문성 강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철새 분변이 직접적으로 AI를 유발하는 것보다 사람과 차량 간 이동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가 더 많을 것"이라며 "방역당국이 전문적이며 과학적 조사를 통해 AI 확산 차단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가금농가의 방역 일손 부족과 비용 부담을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오리협회 박하담 정읍시지부장은 "AI 방역을 위한 생석회 벨트 구축에 힘을 쏟고 있지만,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 확보가 쉽지 않아 농가들이 애를 먹고 있다"며 "농장주의 인식 개선 만큼, 방역 설비 및 인력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3일 농림축산식품부 가축전염병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실을 찾아 AI 방역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정세균 총리는 "고병원성 AI가 지금까지 농장 간 수평전파는 없으나,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면서 "관계부처가 다시 한번 힘을 모아 방어해달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