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온건'이냐 '강경'이냐…文대통령, 신현수 사태 수습 갈림길



대통령실

    '온건'이냐 '강경'이냐…文대통령, 신현수 사태 수습 갈림길

    22일 신현수 사의 최종 결정, 국정운영 방향성과 결부돼 문대통령의 선택에 주목

    문재인 대통령과 신현수 민정수석. 연합뉴스

     

    신현수 민정수석의 사의표명으로 인한 파장이 커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기로에 서게 됐다. 신 수석이 끝내 청와대를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어떻게 수습하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의 방향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과의 갈등을 강경하게 밀어붙이느냐, 온건하게 봉합하느냐. 대통령이 갈림길에 섰다.

    ◇ 일단 출근하는 신현수 靑 떠날 가능성 커…이제부터 문 대통령의 시간

    신 수석은 휴가가 끝나는 22일 청와대에 출근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8일부터 총 나흘간 숙고 시간을 가진 신 수석은 이날 오전 사의에 대한 최종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신 수석이 청와대에 잔류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청와대는 수습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신 수석이 사임할 것을 전제로 후폭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러 안들이 문 대통령에게 보고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의 본질이 청와대 국정운영 방향성과 결부된 만큼 결국에는 문 대통령이 최종 마무리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문 대통령이 이른바 '추-윤'(추미애-윤석열) 갈등의 부정적 여파를 잠재우기 위해 온건한 기조를 보여왔던 상황에서 기조를 그대로 이어갈지가 관심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문 대통령은 지난해 말 검찰과의 갈등을 중재하고 소통을 강화할 구원투수로 신 수석을 민정수석으로 영입했으며, 신년기자회견에서는 윤 총장을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고 치켜세우기까지 했다.

    하지만 2월 7일 검찰 고위 간부급 인사에서 박범계 법무부장관이 주도한 강경안이 신 수석과 윤 총장을 건너뛰고 기습적으로 발표되면서 스텝이 꼬였다. 여기에 문 대통령의 의중이 얼마나 반영됐느냐를 두고는 추측이 분분하다.

    문 대통령이 법무부 인사안을 재가함으로써 강경하게 돌아섰다는 해석이 나왔지만 박 장관이 문 대통령까지 건너뛰고 무리를 했다는 정반대 시나리오도 있다.

    결국 문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어떻게 수습하느냐에 '온건의 길'을 계속 갈 것인지, '강경의 길'로 선회할 것인지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어떤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느냐에 따라 이번 사태의 원인과 정권 운영의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며 "파장이 커진 만큼 결국 문 대통령이 해결의 키를 쥐고 있다"고 내다봤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정회되자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윤창원 기자

     

    ◇ 靑 소통과 업무처리 방식에 빨간불… 대대적 인적개편 요구 목소리도

    문 대통령이 어떤 길을 택하건 간에 청와대 참모진의 대대적인 인적 개편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사태는 청와대 내부 소통과 업무 처리 방식에 있어서 많은 허점을 남겼다. 비서실장을 비롯해 제1부속, 국정상황, 기획 및 정무 파트에서도 일처리를 안일하게 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민정수석실을 포함해 대대적인 청와대 조직 개편으로 내부 기강을 다잡고 막바지 국정운영에 흐트러짐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충고가 나온다.

    청와대에 근무한 적 있는 한 여권 관계자는 "부처 장관과 수석이 정면으로 부딪히고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이 끼어 각종 설화가 나오는 것은 핵심 참모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방증"이라며 "이번 기회에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